컨텐츠 바로가기

09.09 (월)

“공식 첫 발견”···취미로 새 관찰하던 중학생, ‘이 멸종위기종’ 포착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멸종위기 I급 ‘청다리도요사촌’ 발견

울산서 공식 확인된 것은 처음

남·서해안 갯벌 개발로 개체수 감소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새 관찰이 취미인 중학생이 울산 울주군 서생 해안가에서 멸종위기 I급 ‘청다리도요사촌’을 발견했다.

31일 울산시는 지난 26일 오전 7시께 문수중학교 3학년 이승현 학생으로부터 제보를 받고 주말 현장 확인을 통해 청다리도요사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울산에서 해당 종이 공식적으로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울산 새 관찰 모임 ‘짹짹휴게소’에서 활동 중인 이 군은 학기 중에도 탐조(探鳥) 활동 후 등교할 정도로 새 관찰에 열정이 깊은 것으로 알려졌다. 청다리도요사촌 발견 당시에도 이 군은 새벽 버스를 타고 서생 해안을 탐조하던 중이었다.

이 군의 제보를 받은 시는 윤기득 사진작가와 함께 갯바위에서 노랑발도요, 좀도요, 꼬까도요, 뒷부리도요 등과 함께 먹이 활동하는 청다리도요사촌 1개체를 확인하고 사진과 영상으로 기록했다.

박찬열 국립산림과학원 생활권도시숲연구센터장(조류박사)은 “청다리도요사촌이 동해안 지역에서 관찰된 것은 매우 드문 사례”라며 “친환경 기반 조성과 관리 정책으로 다양한 물새 서식지를 제공하고 있기에 가능한 일”이라고 설명했다.

홍승민 짹짹휴게소 대표는 “서생면 해안 갯바위 주변으로 새들이 온전하게 쉬었다 갈 수 있도록 서식 환경이 계속 보존되도록 하는 일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청다리도요사촌은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적색목록에도 위기종(EN)으로 분류된 국제적 멸종위기종이다. 전 세계에 500~1300여 개체가 분포돼 있는 것으로 파악되며, 우리나라에는 봄과 가을 시기 매우 드물게 방문하는 나그네새다.

그러나 이마저도 주요 서식지인 남해안과 서해안 갯벌의 지속적인 개발 및 감소로 인해 줄어들고 있는 추세다. 이에 따라 환경부는 청다리도요사촌을 멸종위기 야생생물 I급으로 지정하고 법적으로 보호하고 있다.

비슷한 이름을 가진 ‘청다리도요’와 혼동이 쉽지만 청다리도요사촌은 청다리도요보다 부리가 굵고 위로 향해있으며 기부(살가죽)에 노란 끼가 돈다. 주로 모래톱이나 갯벌의 물웅덩이에서 게, 작은 어류, 연체동물 등을 잡아먹는다. 잡은 먹이를 물고 안전한 곳으로 빠르게 이동해 먹는 행동을 보인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문예빈 기자 muu@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