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08 (일)

오너 리스크에 휘청, 카카오 '창업자 빈자리' 어찌 메우려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혁기 기자]
더스쿠프

김범수 경영쇄신위원장이 구속되면서 카카오의 주요 사업에도 차질이 생겼다.[사진=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카카오가 창사 이래 초유의 비상사태를 겪고 있다. 창업자인 김범수 경영쇄신위원장에게 지난 7월 23일 법정 구속되면서다.

그룹 최고 의사결정권자인 김 위원장은 지난해 2월 SM엔터테인먼트를 인수하는 과정에서 경쟁사인 하이브의 공개 매수를 방해할 목적으로 SM엔터테인먼트의 주가를 공개매수가인 12만원보다 높게 설정되도록 조종한 혐의를 받고 있다. 김 위원장이 구속되면서 카카오 주가는 4만1050원(7월 22일)에서 3만8850원(23일)으로 하루 만에 5.3%가 빠졌다.

현재 김 위원장은 주가 조종 혐의를 일체 부인하고 있다. 그럼에도 이번 구속을 간단하게 볼 순 없다. 검찰은 지난 25일 "조사할 것이 많아 여러 상황을 봐가면서 소환해 조사하고 있다"면서도 "시세조종 과정에서 김 위원장이 전반적으로 공모한 증거를 확보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일로 어깨가 무거워진 건 사내 2인자로 평가받는 정신아 카카오 대표다. 김 위원장이 구속된 지 하루 뒤인 23일 정 대표는 카카오 계열사의 주요 경영진들을 모아 후속 대책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 대표는 카카오그룹의 '콘트롤타워'인 독립기구 CA(Corporate Alignment)협의체에서 김 위원장과 함께 공동의장을 맡고 있다.

문제는 '창업주 공백 리스크'를 정 대표가 감당하기가 쉽지 않을 거란 점이다. 최근까지 김 위원장이 주도한 경영 쇄신 작업만 해도 그렇다. 계열사를 무리하게 늘리는 '문어발식 경영'이란 오명을 씻어내고, 계열사 자율경영에서 책임경영을 강조하는 등 '하나된 카카오'를 만드는 게 목표였다.

이를 위해 김 위원장은 앞서 언급한 CA협의체를 세우고 신규 투자 집행, 지분 매각 등 계열사의 굵직한 사안을 검증하며 중앙집권력을 다져나갔다. 계열사 수도 기존 147개에서 124개(7월 18일 기준)로 줄였다.

하지만 김 위원장이 구속되면서 카카오의 경영 쇄신작업은 한 템포 늦춰질 위기에 처했다. 지난 3월 갓 취임한 정 대표가 김 위원장을 대신해 경영 쇄신 작업을 효과적으로 이끌어나갈 수 있을지 알 수 없어서다.

악재는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사업 불확실성이 높아진 탓에 카카오엔터테인먼트‧카카오모빌리티 등 계열사의 기업공개(IPO) 일정에 차질이 생겼다. 카카오의 주요 신사업에도 브레이크가 걸릴 가능성이 적지 않다. 카카오가 올해 상반기에 공개할 예정이었던 '한국판 챗GPT' 코GPT 2.0의 발표 시점도 연기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더스쿠프

[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더스쿠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SM엔터를 주축으로 하는 해외사업도 마찬가지다. 카카오는 2025년까지 해외매출 비중을 30% 확대한다는 '비욘드 코리아' 계획을 발표한 바 있지만 당분간 '올스톱'할 가능성이 적지 않다.

또다른 계열사 카카오뱅크의 신사업 마이데이터(본인신용확인정보업)를 둘러싼 먹구름도 더 짙어졌다. 카카오뱅크는 일찍이 금융위원회에 해당 사업의 본허가를 신청했지만, SM엔터 시세조종 의혹이 불거지면서 금융위원회는 지난해 5월 '대주주 사법 리스크'를 이유로 허가 절차를 중단한 바 있다.

올해 1월에도 같은 이유로 마이데이터 허가심사 중단을 유지했는데, 이번 김 위원장 구속까지 더해져 마이데이터 사업은 사실상 무기한 중단됐다고 봐야 한다. 과연 카카오는 '총제적 난국'을 잘 헤쳐 나갈 수 있을까. 그러기엔 '창업주의 빈자리'가 너무 크다.

이혁기 더스쿠프 기자

lhk@thescoop.co.kr

<저작권자 Copyright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