故 김민기. 사진|스타투데이DB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그저 고맙다고, 할만큼 다했다고 하셨어요.”
대학로 소극장 ‘학전’을 오랜 시간 이끌어 온 가수 겸 공연연출가 김민기 대가 지병인 위암 증세가 악화해 지난 21일 별세했다. 향년 73세.
고인의 조카인 학전 김성민 팀장은 22일 오전 서울 종로구 대학로 학림다방에서 부고 기자회견을 갖고 고인의 마지막 말을 이렇게 전했다. 학림다방은 고인이 생전 아지트로 자주 찾던 곳이다.
김 팀장은 “위암 4기로 시작해 간 전이가 됐고, 폐렴으로 돌아가셨다. 집에서 잘 계시다가 갑작스럽게 상태가 안좋아지셨다”며 “19일부터 안좋아지셔서 20일 오전에 응급실로 옮겼고, 21일 오후 8시 26분에 돌아가셨다. 보고 싶은 가족들이 다 올 때까지 기다리셨다가 다 만나고 가셨다”고 고인의 마지막에 대해 말했다.
학전 측은 앞서 고인의 별세 소식을 전하며 “빈소 및 발인 등 모든 장례 절차는 취재진에게 비공개로 진행된다. 조용히 장례를 치르고자 하는 고인의 뜻을 따를 수 있도록 마음으로 애도해 주시길 간곡히 부탁드린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김 팀장은 “어떻게 보면 가족들은 33년 동안 김민기 선생님을 내어드린 것”이라면서 “온전히 가족들끼리 보내드리고 싶다는 마음으로 정하게 됐다. 양해부탁드린다”고 거듭 양해를 구했다.
고인의 유언에 대해 “3~4개월 전부터 꾸준히 말씀을 남기셨다”면서 “늘 하는 말은 ‘그저, 고맙지’, ‘할만큼 다 했지’, ‘니가 걱정이지’ 그런 말씀을 하셨다. 유언은 재산에 관한 유언이 많기 때문에, 공개할 만한 유언장은 없다. 다만 당부하신 말씀은 궁금해하실테니까 정리해서 향후 밝히겠다”고 밝혔다.
‘학전’ 앞에서 환하게 미소짓던 고 김민기. 사진|스타투데이 DB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학전 측은 “조의금과 조화는 고인의 뜻에 따라 정중히 사양한다”고 알렸다.
김 팀장은 “선생님께서 생전 그런 말씀을 하신 적은 없지만 미루어 짐작했다. 가족들도 흔쾌히 동의해주셨다”면서 “학전을 그만두면서 많은 분들이 십시일반 도와주셨다. 그걸로 충분히 선생님이 노잣돈을 마련하지 않으셨을까 싶다. 따뜻하게 밥 한끼 드리면 함께 먹으며 선생님을 기억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는 지난 3월 폐관한 ‘학전’ 소극장을 ‘아르코꿈밭극장’으로 재탄생 시켰다. 고인은 발인 후 장지로 떠나기 전 학전 소극장이 위치한 아르코꿈밭극장을 들를 계획이다.
김 팀장은 “다행히 아르코 측에서 양해를 해주셨다. 학전 소극장은 없어졌지만, 33년간 있었던 학전을 둘러보고 장지로 갈 계획이다”고 했다.
학전의 김민기는 떠났지만, 학전의 활동은 계속될 예정이다.
김 팀장은 앞으로의 활동 방향에 대해 “홈페이지를 통해 학전에서 올렸던 공연 작품이나 김민기 개인의 대중음악 작품을 크게 아우를 수 있는 아카이브를 운영할 예정이다. 또 작품 대본집 생전 선생님이 하고자 하셨던 것들도 만들려고 한다. 선생님께서 주신 숙제를 잘 해보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다만 “선생님이 연출하지 않는다면 학전의 작품은 더이상 없다. 김민기가 연출하지 않는 ‘지하철 1호선’은 없다”고 못 박은 뒤 “누군가의 염원이 크다면 학전의 40주년, 50주년, 100주년 그 어느 날 한번쯤은 돌아오지 않을까”라고 덧붙였다.
故 김민기. 사진ㅣ학전 |
김민기는 1951년 3월 31일 전북 익산에서 출생해 서울대 서울대 회화학과를 졸업한 뒤 1970년 그를 대표하는 곡 ‘아침이슬’을 작곡했다. 양희은이 부른 ‘아침이슬’은 당시 저항정신을 대표하는 곡이었다. 이후 발표한 ‘꽃 피우는 아이’, ‘늙은 군인의 노래’, ‘상록수’ 등은 줄줄이 금지곡으로 지정됐다.
1991년 3월 대학로 소극장으로 개관한 이후 ‘지하철 1호선’ ‘모스키토’ ‘의형제’ ‘개똥이’ 등 학전만의 특색을 담은 공연을 기획·제작했다. 학전은 가수 故김광석, 들국화, 배우 황정민, 조승우 등 많은 스타 가수와 배우들을 배출했다.
김민기는 지난해 가을 위암 진단을 받았다. 건강 악화와 경영난으로 공연장을 더 이상 운영하기 어렵다고 판단해 개관 33년 만인 지난 3월 15일 학전블루 소극장의 문을 닫았다. 폐관에 앞서 50여 명의 배우, 가수, 예술인들이 자발적으로 ‘학전, 어게인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관심과 응원을 보내기도 했다.
고인의 빈소는 서울대학교병원 장례식장 2, 3호실에 마련되며, 조문은 이날 낮 12시 30분부터 가능하다. 발인은 24일 오전 8시. 장지는 천안공원묘원이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