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8.27 (화)

“무슨 법이 이래요?”...보증금 7124억 ‘먹튀’한 임대인 67명 여전히 임대사업

댓글 2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전세보증금을 상습적으로 돌려주지 않아 명단이 공개된 ‘악성 임대인’ 절반이 여전히 임대사업자 자격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대사업자의 경우 세제 혜택을 받는다.

17일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문진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23일 기준 악성 임대인 명단에 오른 127명 중 절반 이상(53%)인 67명이 여전히 등록 임대사업자이며, 이들은 악성 임대인 등재 후에도 임대사업자 자격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서울 지역의 경우 악성 임대인 34명 중 25명(74%)이, 경기는 48명 중 26명(54%)이 임대사업자로 등록돼 있다.

임대사업자 자격을 유지 중인 악성 임대인 67명이 세입자에게 보증금을 돌려주지 않아 HUG가 대신 반환한 금액(대위변제액)은 무려 7124억원에 이른다. 1인당 106억원 수준이다.

대위변제 건수는 3298건인데, 이는 전세 피해자가 3000명이 넘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도 이들은 임대사업자로서 취득세·재산세 감면, 종합부동산세 과세표준 합산 배제, 양도소득세 감면 등 세제 혜택을 누리고 있다.

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은 임대사업자가 보증금 반환을 지연해 임차인 피해가 명백히 발생한 경우 지방자치단체장이 임대사업자 등록을 말소하도록 규정(제6조12항)하고 있다.

‘임차인의 피해’ 판단 여부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데, 임차보증금 반환 소송에서 승소 판결이 확정됐으나 보증금을 반환하지 않는 경우와 주택임대차분쟁조정위원회의 조정 성립에도 보증금을 반환하지 않는 경우로 한정된다.

이에 따라 상당수 악성 임대인이 여전히 임대사업자로 등록돼 있는 것이다.

지난 2021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3년6개월간 보증금 미반환으로 임대사업자 자격이 말소된 사례는 7명에 불과하다.

악성 임대인으로 명단까지 공개했다면 국토교통부나 지방자치단체에서 임대사업자 자격 유지 여부 등을 확인해야 하는데, 이런 체계가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아 명단 공개가 ‘보여주기식 행정’에 그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된다.

문진석 의원은 “정부가 전세사기 피해자들에게는 돈을 쓰지 않으려 하면서 악성 임대인들이 받는 세제 혜택은 방치하고 있다”며 “진심으로 전세사기를 근절하겠다는 의지가 있다면 법령 개정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매일경제

지난달 23일 오전 서울 마포구 신촌 대학가 일대에서 열린 ‘신촌·구로·병점 100억대 전세 사기 피해자 대책위원회 출범 기자회견’에서 전세사기 피해자들이 전세사기특별법 개정 및 정부의 문제 해결을 촉구하고 있다. 대책위에 따르면 임대인 최모 씨로부터 전세 사기 피해를 본 세입자는 총 94명이며, 이들이 입은 피해액은 100억원대에 이른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정부는 전세사기 예방을 위해 지난해 12월 27일부터 상습적으로 보증금 채무를 반환하지 않은 임대인 이름과 나이, 주소, 임차보증금 반환 채무, 채무 불이행 기간 등을 공개하고 있다.

HUG가 세입자에게 전세금을 대신 돌려주고 청구한 구상 채무가 최근 3년간 2건 이상이고, 액수가 2억원 이상인 임대인이 명단 공개 대상이다.

전세금을 제때 내어주지 못해 임대사업자 등록이 말소된 지 6개월 이상이 지났는데도 1억원 이상의 미반환 전세금이 남아있는 임대인 명단도 공개되는데, 지난달 23일 127명이던 공개 악성 임대인은 정보공개심의위원회의 추가 개최로 전일 208명으로 늘었다.

이들이 보증금을 돌려주지 않아 발생한 보증금 반환채무는 총 3606억원으로, 평균 17억3000만원에 달한다.

법을 소급 적용하지는 않아 악성 임대인 명단 공개의 근거를 담은 개정 주택도시기금법이 지난해 9월 29일 시행된 이후, 전세금 미반환 사고가 1건 이상 있고 미반환 전세금 규모가 2억원 이상이어야 명단 공개 대상이 된다.

이에 따라 법 시행 전 발생한 전세보증 사고까지 포함하면 악성 임대인들의 보증금 반환채무 규모는 더 커질 수 있다.

떼어먹은 보증금 규모가 가장 큰 악성 임대인은 강원 원주에 거주하는 손모(32) 씨로, 임차보증금 반환채무가 707억원이다.

인천 부평구 십정동이 주소로 등록된 정모(68) 씨도 임차보증금 반환 채무가 110억원, 경기 남양주시 거주 김모(30) 씨도 80억원이다.

최연소 악성 임대인은 인천 미추홀구에 거주하는 이모(23) 씨로 4억6000만원을 돌려주지 않았다. 최고령은 6억2000만원의 보증금 반환 채무가 있는 서울 동대문구에 거주하는 최모(82) 씨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