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8.25 (일)

“억단위로 올랐네, 전세 만기가 겁나요”…매매·전세가 쌍끌이에 실수요자 비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커지는 집값대책 목소리

내년 말 전국 입주 물량
올 상반기의 60% 그쳐

집값 불안, 정부는 낙관
투자수요 불붙을 조짐도


매일경제

롯데타워에서 바라본 서울 아파트 단지 모습. [이승환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 마포구에 거주하는 직장인 이 모씨(33)는 최근 주말마다 부동산 임장(현장조사)을 다니고 있다. 내년 초 전세 만기를 앞두고 있는데 지금 살고 있는 집 전셋값을 어차피 올려줘야 할것 같아 아예 매매를 고려중이다. 문제는 최근 서울 아파트값 오름폭이 커졌다는 점이다. 이씨는 “마포구 단지들은 작년에 문의했던 것보다 적어도 1억~2억원은 오른 듯 하다”며 “새 아파트 공급이 더 줄어든다니 상황이 더 심각해질까 걱정”이라고 했다.

최근 서울·수도권을 중심으로 아파트 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이 ‘쌍끌이’로 오르는 가운데 내년으로 갈수록 입주물량 급감이 예고돼 정부 차원의 공급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로 입주물량이 줄어들면 전셋값이 뛰고, 이는 집값을 다시 밀어올려 시장이 불안해질 위험이 커진다.

16일 문진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확보한 한국부동산원 자료에 따르면 올해 하반기 전국 공동주택(30가구 이상) 입주예정 물량은 17만2843가구로 집계됐다. 올해 상반기(19만1575가구)보다 9.8% 줄어든 수치다. 내년 입주예정물량은 더욱 좋지 않다. 내년 상반기 16만82가구, 하반기는 11만5101가구뿐이다. 내년 말이면 입주 물량이 올 상반기의 60%수준까지 급감한다는 뜻이다.

수도권은 올해 상반기 9만2334가구에서 하반기 8만6340가구로 6.4% 줄어든다. 내년 상반기는 7만9536가구, 하반기는 5만5871가구로 급감한다. 윤지해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내년까지 보면 전반적으로 물량 축소 경향이 강하다”고 분석했다.

주택 공급절벽 경고등은 이 뿐만이 아니다. 정부가 2023년부터 2024년 주택을 100만 가구 공급(인허가 기준)하겠다고 약속했지만, 실적은 절반에 그쳤다. 지난해 계획물량(47만가구) 중 38만8000가구(82.5%)만, 올해는 5월까지 12만5000가구(23.1%)만 인허가 과정을 거쳤다.

정작 정부는 낙관한다. 최근 수도권에서 급증하는 거래가 실수요자 위주이고, 수요층이 한정돼 있어 집값 상승에 한계가 있다는 입장이다. 최근 서울 아파트 거래가 1~10년차 위주로 쏠리고, 청약시장 경쟁률이 급등하는데 시장 전반적인 추세로 확장은 쉽지 않다는 것이다.

하지만 입주물량이 계속 줄고 전세가격이 불안정하면 상황은 달라진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실거주장에 다주택자의 갭투자(전세 끼고 매수) 등 투자수요가 동반하면 시장이 불안해질 위험이 높다”며 “서울·수도권 전세가율(매매가격 대비 전세가 비율)이 60%를 넘으면 투자수요도 유입된다”고 입을 모았다. 통계청에 따르면 5월 기준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은 54.6%다. ‘바닥’을 찍은 1년 전(52.8%) 이후 지속 상승 중이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