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부산 이대로 사라지나…광역시 첫 ‘소멸위험단계’ 진입 [통계로 보는 행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부산광역시가 전국 6개 광역시 중 처음으로 ‘소멸위험단계’에 들어섰다. 전체 광역지방자치단체 17곳 중 8곳이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된 가운데 가장 위험도가 높은 곳은 전남으로 나타났다.

28일 한국고용정보원에 따르면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24년 3월 기준 소멸위험지역의 현황과 특징’ 보고서가 계간지 ‘지역산업과 고용’ 여름호에 담겼다.

세계일보

무더운 날씨를 보인 28일 부산 해운대구 일대에 짙은 해무가 밀려와 장관을 연출하고 있다.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상호 연구위원이 통계청 주민등록인구통계를 이용해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소멸위험지역은 소멸위험지수(20~39세 여성 인구수를 65세 이상 인구수로 나눈 값)를 통해 측정한다. 소멸위험지수 값이 0.2∼0.5이면 소멸위험진입단계, 0.2 미만이면 소멸고위험단계로 구분된다.

부산은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23.0%를 기록해 광역시 중 유일하게 초고령사회로 진입했다. 반면 20~39세 여성인구는 11.3%에 그쳐 소멸위험지수 값이 0.490을 기록했다.

전남과 경북, 강원, 전북 등 4곳은 소멸위험지수 값이 0.4 미만을 기록했다. 소멸위험지수 값이 0.329로 가장 낮은 전남은 전체인구가 179만8000명으로 10년 전에 비해 5.1% 감소했다. 20~39세 여성인구는 10년 전 대비 23.4% 감소해 전체인구 중 8.7%에 그쳤지만, 고령인구 비중은 26.4%로 전국 최고 수준을 보였다.

경북의 소멸위험지수 값은 0.346으로 전남과 비슷했다. 경북의 전체인구는 254만7000명으로 10년 전에 비해 5.0% 감소했고, 20~39세 여성인구는 22만1000명으로 10년 전보다 30.5% 줄었다. 경북의 고령인구 비중은 25.0%로 전남 다음으로 높았다. 이어 강원(0.388), 전북(0.394), 경남(0.444), 충남(0.464), 충북(0.487) 순으로 소멸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7개 시·도 중 소멸위험지수가 ‘저위험’인 1.5 이상인 지역은 전무했다. 세종이 1.113으로 가장 높았고, 서울(0.810), 경기(0.781), 대전(0.736)이 뒤를 이었다.

전체 228개 시·군·구 중 소멸위험지역은 130곳으로 57.0%에 이르렀다. 20~30대 여성인구가 65세 이상 인구의 5분의 1에도 못 미치는 소멸고위험지역도 57곳으로 전체 시·군·구의 4분의 1을 차지했다.

지난해 3월 이후 신규로 소멸위험지역에 진입한 곳은 11곳이었고, 이 중 무려 8개가 ‘광역시 구·군’이었다. 부산 북구·사상구·해운대구·동래구와 대구 동구, 대전 중구·동구, 울산 울주군이 포함됐다. 나머지 3곳은 전남 목포시·무안군, 충북 증평군이다.

서울을 제외한 광역시 전체 45개 구·군 중 소멸위험지역은 21개로 46.7%에 달했다. 시·도별로는 부산이 11개로 가장 많았고 대구 3곳, 대전 2곳, 인천 1곳이었다.

부산 영도구는 소멸위험지수가 0.256으로 광역시 구 지역 중 가장 낮았다. 영도구가 처음으로 소멸위험지역으로 진입한 2017년 인구와 비교하면 20∼39세 여성인구는 11.4% 감소했지만, 65세 이상 인구는 73.5% 급증했다.

그동안 광역시 소멸위험지역은 부산 영도구·동구, 대구 서구, 대전 중구처럼 재개발이 지연된 원도심과 부산 사상구·사하구, 대구 서구 등 노후산업지역이 주를 이뤘다. 그러나 최근에는 해운대구와 같은 신도심으로도 확산하는 추세가 확인됐다.

이 연구위원은 “마린시티로 대표되는 초고층빌딩, 벡스코와 세계적인 규모의 백화점 등은 주로 우동(우 1·2·3동)에 몰려 있다”며 “젊은 세대가 높은 지가나 임대료를 감당하기 어렵다는 점을 생각하면 이곳에 주거지를 둔 사람들의 연령 구성이 우리나라 전체평균 수준 내외라는 점을 납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해운대구 반송 1·2동은 각각 소멸위험지수 값이 0.192와 0.194로 20~30대 여성인구가 65세 이상 인구의 5분의 1에도 못 미치는 소멸고위험지역이다. 반여 2·3동 역시 소멸위험지수 값이 각각 0.218과 0.269로 소멸고위험지역 기준에 근접하고 있다.

이 연구위원은 “이들 지역은 1960~70년대 부산시가 시내 수재민과 철거민들을 정책적으로 이주시키면서 생긴 곳들”이라며 “최근 낙후된 주거 인프라와 생활환경으로 인해 인구유출과 고령화가 급격히 진행되고 있다. 해운대의 번영 이면에 양극화의 그림자가 함께 드리워진 것”이라고 분석했다.

부산은 30년 후엔 전체인구의 4분의 1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20∼30대 여성인구는 절반 이상 줄어들고, 반대로 65세 이상 인구는 3분의 2가량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이 연구위원은 지역 특성에 따라 적절한 정책적 개입과 지역 주체의 노력이 조화를 이루면 지방소멸의 흐름을 늦추거나 반전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 예시로 경북 예천군을 들었다. 예천군의 경우 지난 20년 동안 전체인구가 소폭 증가했으며, 20~39세 인구 감소율도 다른 소멸위험 지역과 비교할 때 절반 수준에 그쳤다. 경북도청 이전과 신규산업단지 조성 등과 같은 지역발전 정책이 효과를 거뒀다고 그는 분석했다.

이 연구위원은 “소멸위험지역이 최근까지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는 점은 저출생 대책과 마찬가지로 지방소멸 대책도 별다른 성과를 거두고 있지 못하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이 지역들이 어떤 경로를 밟아갈지는 중앙과 지역이 어떤 정책적 대응을 하는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구윤모 기자 iamkym@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