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LG유플러스 지속경영보고서 발간, 통신업계 최초 IFRS 기준 보고서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LG유플러스는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정보를 대폭 강화한 '2023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및 기후변화와 정보보안, 개인정보보호 주제에 대한 '지속가능성 관련 IFRS(국제회계기준) S1, S2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8일 밝혔다.

LG유플러스는 2013년부터 이해관계자와 적극 소통하고 회사의 지속가능경영 현황을 공유하기 위해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하고 있다. 올해 발간된 열두 번째 보고서는 국제 지속가능경영보고서 표준인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 스탠다드 2021'을 반영해 부문별 표준을 새롭게 도입, ESG 정보의 폭과 깊이를 한층 더 넓혔다.

이번 보고서는 '연결기준 이중 중대성 평가 프로세스'에 따라 작성됐다. LG유플러스가 경영활동을 추진하면서 환경·사회에 미치는 영향(Inside-out), 그리고 외부 환경·사회 이슈가 회사에 재무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위험 기회 요인(Outside-in)을 고려해 LG유플러스의 종속기업을 포함해 업종에 특화된 4가지 중요 이슈인 △서비스 품질 △정보보안·개인정보 보호 △온실가스 배출 △공정거래를 선정했다.

LG유플러스는 고객의 권리와 이익 보호를 최우선의 가치로 삼고 서비스 품질 리스크에 신속 대응하는 관리 프로세스를 운영하고 있다. 이는 네트워크/IT/단말 등 '기능' 중심 품질관리 체계가 아닌 고객 관점의 위기 대응 프로세스다. 서비스 개발 과정에서도 초기 단계인 기획과 투자심의부터 품질 요구사항을 반영하고 있다.

또 지난해 LG유플러스는 최고정보보호책임자(CISO)로 홍관희 전무(사이버보안센터장)를 선임해 조직을 확대했다. 마곡사옥에는 통합 관제센터를 구축하는 등 고객의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사이버 위협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했다.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AI 기반 에너지 절감 시스템을 도입해 에너지 사용량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이달 출범한 전기차 충전 합작법인 'LG유플러스 볼트업'을 통해 전 사회적으로 온실가스 배출 저감을 장려하고 있다. 이와 함께 택배 상자와 제품 포장재를 친환경 소재로 변경하고, 알뜰폰 공용 유심의 플라스틱 카드 크기를 줄이는 등 탄소중립 아이디어를 실행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이를 통해 2050년까지 사용 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기도 했다.

공정거래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협력사와의 공정한 거래를 보장하고, 투명한 거래 절차를 확립하기 위해 공정거래 관련 교육과 감사를 강화했다.

LG유플러스는 지속가능경영보고서와 함께 스페셜 리포트로 '지속가능성 관련 IFRS S1·S2보고서'를 발간했다. 이는 국내 ESG 공시의무화에 앞서 이해관계자와의 적극적인 소통을 위한 선제적인 공개 활동이며, 국내 통신업계 최초다.

이 리포트는 IFRS 재단 산하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가 제정하고 공표한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기준(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를 위한 일반 요구사항, 기후 관련 공시)의 요구사항을 참고해 작성됐다.

이홍렬 LG유플러스 ESG추진실장은 "이번 보고서는 주요 이해관계자들이 ESG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도록 작성됐다"며 "앞으로도 LG유플러스만의 다양한 ESG 활동과 목표를 지속적으로 공개하겠다"고 말했다.

황국상 기자 gshwang@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