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트럼프 “내 임기땐 테러 없어” VS 바이든 “그 때 실업률 15%로 폭등”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미국 대선을 앞두고 27일(현지 시각) 진행된 첫 TV토론에서 조 바이든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인플레이션을 비롯한 경제와 일자리, 우크라이나 등 대외 정책을 놓고 정면으로 충돌했다.

이날 CNN방송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은 트럼프 전 대통령을 향해 “(코로나) 대유행을 형편없이 대처했으며 많은 사람이 죽었으며 경제는 붕괴했다”면서 트럼프 정부 당시 경제에 대해 “자유 낙하했다”, “문자 그대로 카오스(혼란)이었다”고 밝혔다. 그는 특히 “실업률이 15%로 치솟았으며 끔찍했다”고 주장한 뒤 80만개의 제조업 일자리 창출 등 자신의 성과를 부각했다.

조선비즈

날선 공방 벌이는 트럼프와 바이든.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트럼프 정부의 이른바 부자 감세와 정부 재정 적자 문제도 지적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그(바이든 대통령)가 만든 유일한 일자리는 불법 이민자를 위한 것이고 코로나 이후에 되살아난 것들”이라고 반박한 뒤 바이든 정부에서의 인플레이션 문제를 거론하면서 “그것은 절대적으로 우리나라를 죽이고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른바 ‘10% 보편 관세 부과’ 공약에 따른 미국 물가 상승 우려에 대해 “인플레이션을 더 높이지 않을 것”이라고 말하면서 “중국 등이 우리에게 많은 돈을 주도록 강제할 것이며 재정적자를 엄청나게 줄일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내년 말 만료되는 이른바 ‘트럼프 감세안’ 연장에 대해서도 감세로 기업의 수익이 늘어났다면서 “기업들은 수조달러를 다시 미국으로 가져왔다”면서 당위성을 주장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현재 미국의 억만장자들이 8.2%의 세금만 내고 있다면서 트럼프 정부 당시의 감세 조치를 비판했으며 트럼프 감세안을 그대로 연장할 경우 “미국을 파산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또 트럼프 전 대통령의 10% 보편관세 공약에 대해 물가 상승으로 인해 “1년에 (가구당) 2천500달러 정도 추가 부담을 시킬 것”이라고 우려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바이든 정부의 기후변화 대응 관련 정책을 ‘녹색 사기’라고 재차 주장했다. 또 재임 중 파리 기후변화협정이 ‘돈 낭비’라 탈퇴했다고 밝혔다. 바이든 대통령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대해 “역사상 가장 광범위한 기후변화법안”이라고 평가했다.

조선비즈

첫 TV토론서 격돌하는 바이든과 트럼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날 토론에서도 자신이 대통령이었다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나 하마스의 이스라엘 테러 사건이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라고 재차 주장했다. 그는 그 이유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자신의 존경한다는 점과 하마스의 배후인 이란에 대한 자신의 강경 제재 정책을 들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바이든 정부의 아프가니스탄 철군 당시 상황 등도 비판하면서 바이든 대통령이 미국을 3차 세계대전으로 몰고 가고 있다고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트럼프 전 대통령이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원국이 국방비 분담을 하지 않을 경우 러시아의 침공을 부추기겠다고 한 발언을 거론하면서 트럼프 전 대통령을 비판했다. 그는 그러면서 푸틴 대통령이 우크라이나를 점령한 뒤에 나토 회원국인 폴란드에 진출하면 나토 조약에 따라 미국의 방어 의무가 있다는 점을 상기시키면서 트럼프 전 대통령을 향해 “그는 도대체 자신이 무슨 말을 하는지 모른다”고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미국 안보를 위해 우크라이나를 지속해 도와야 한다고 밝혔다.

민서연 기자(minsy@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