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이슈 인공지능 시대가 열린다

한컴, AI 사업 확장 가속… '한컴어시스턴트' 베타 버전 공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기도청, 한국전력공사 등과 '한컴어시스턴트' PoC 시작

김연수 대표 "문서 작성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중요한 전환점"

뉴시스

한글과컴퓨터 CI(사진=한컴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시스]송혜리 기자 = 한글과컴퓨터는 공공·기업(B2G·B2B)을 대상으로 인공지능(AI) 지능형 문서 작성 도구인 한컴어시스턴트 베타 버전 개념증명(PoC)을 시작한다고 28일 밝혔다.

하반기 중 정식 출시 예정인 한컴어시스턴트는 사용자가 명령하면 환경에 맞는 AI 모델을 활용해 내용을 이해하고, 사용자 의도를 분석해 목적에 맞도록 문서를 자동으로 작성해 준다. 한컴은 이미 경기도청, 한국전력공사 등과 한컴어시스턴트의 PoC를 진행하고 있으며 앞으로 B2G·B2B 피드백을 토대로 솔루션 경쟁력을 한층 고도화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한컴어시스턴트는 효율적인 문서 작성을 지원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자연어 명령을 인식해 정확하고 신속하게 문서 작성을 돕는 '챗봇'과 상황에 맞는 문서를 쉽고 빠르게 작성하도록 프롬프트 엔진을 최적화한 'AI 허브', 폐쇄망 환경을 지원하는 문서 작성 특화 거대언어모델(LLM)인 '한컴 sLLM' 등으로 구성돼 LLM을 단순히 연동하는 다른 서비스와 달리 고도화한 기능을 구현한다.

아울러 기본 정보만 입력하면 문서 초안을 완성하거나 사용자 의도를 파악해 콘텐츠를 자동으로 만들어 준다. 또 주로 쓰는 템플릿을 맞춤형으로 제공하고, 헷갈리는 맞춤법도 자동으로 교정하는 등 문서 작성 시작부터 마무리까지 전 과정이 손쉽도록 돕는다.

한컴어시스턴트는 챗GPT 등 외부망 연결이 필요한 LLM을 사용할 수 없는 폐쇄망 환경에서도 스마트한 문서 작성을 지원한다. 한컴피디아를 함께 연동하면 보유하고 있는 문서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로 활용해 정확도를 높이는 동시에 환각 현상을 최소화하며, 보안이 중요한 환경에서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고 회사 측은 강조했다.

김연수 한컴 대표는 "한컴어시스턴트는 그간 축적한 당사의 문서 기술과 AI 기술을 집약한 제품으로 앞으로 문서 작성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 확신한다"며 "이번 PoC를 통해 성능과 안정성을 높여 공공과 기업 고객의 요구를 충족하는 사무 환경에 꼭 필요한 서비스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chewoo@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