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韓美 “반도체, 한미동맹의 핵심… AI때문에 더 중요해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美워싱턴서 ‘한미 반도체 포럼’ 개최

조선일보

27일 미국 워싱턴DC 헤이 아담스 호텔에서 열린 '한미 반도체 포럼'에서 참석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김정회 한국반도체협회 상근부회장,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지나 러몬도 미국 상무장관, 존 뉴퍼 미국반도체산업협회장.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과 미국의 반도체 산업 분야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한미 공급망·산업 대화(SCCD) 반도체 포럼’이 27일 미국 워싱턴DC에서 개최됐다. 양국 반도체협회 주최로 처음 열린 민관 포럼으로 안덕근 산업부 장관, 지나 러몬도 상무장관이 참석한 가운데 기술 개발·인력 양성·공급망 안정 현황 등을 논의하고 신흥 시장에서의 비즈니스 협력, 기술 개발, 인력 양성, 투자 활성화 등 협력을 추진하기로 했다.

안 장관은 이날 오후 열린 포럼에서 “가전과 휴대전화 뿐만 아니라 방위 산업에도 반도체가 필요하다”며 “한미 안보동맹이 공급망과 산업, 과학기술을 아우르는 동맹으로 진화하는 과정에서 반도체 협력이 양자 동맹의 핵심 기둥(Pillar)을 구성할 것으로 믿는다”고 했다. 올해 하반기 캘리포니아주 세너제이에 들어설 ‘한미 인공지능(AI) 반도체 혁신센터’를 언급하며 “양국 간 기술 협력을 지원하고 석·박사, 청년 인력 교류 확대를 통한 인력 부족 문제에서 공조할 것”이라고 했다.

러몬도 장관은 한미가 지난해 4월 윤석열 대통령의 국빈 방미(訪美)를 계기로 전략 산업에서의 협력 확대를 합의한 것을 언급하며 “반도체는 1년 전에 전략적으로 중요했고 이제 AI 때문에 그만큼 더 중요해졌다”고 했다. 또 삼성전자·SK하이닉스가 미국에 반도체 공장을 짓고 투자하는 것에 사의를 표하며 “AI 떄문에 (반도체가) 더 중요해졌다” “미국에서 생산하는게 필요하다”고 했다. 상무부와 인디애나주가 AI 기술 구현을 위한 차세대 메모리반도체로 주목 받고 있는 SK하이닉스의 고대역폭메모리(HBM) 생산을 위해 힘쓰고 있다는 점도 강조했다. 한미 반도체산업협회는 이날 두 장관이 지켜보는 가운데 반도체 공급망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에 서명했다.

◇ 安장관 “한·미·일, 경제동맹 수준 협력 심화”

조선일보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7일 오전 미국 리츠칼튼 호텔에서 열린 워싱턴특파원 간담회에서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편 안 장관은 이날 오전 워싱턴특파원 간담회에서 전날 사상 처음 개최된 한·미·일 산업장관 회의에 대해 “산업 기술 정책에 대해 심도 있는 협력관계를 구축하는 매우 의미있는 첫 걸음”이라며 “그야말로 한·미·일 경제동맹이라 할 정도로 높은 수준으로 (협력이) 심화됐다”고 했다. 정부 고위 당국자는 3국 공동성명에 ‘세계 평화·안보를 위협하고 인권을 침해하려는 자들의 기술 발전을 거부한다’는 중국 견제 메시지가 들어간 것에 대해 “경제 안보에 대해 고려하는 범위·방식이 국가마다 다르다”며 “저희는 상당히 원론적으로 보고 있다”고 했다. “세계적으로 이중 용도 품목에 대한 인식이 제고되고 있고, 미국은 레거시 반도체에 대해 여러가지 제한을 하려는 움직임이 있지만 아직까지 구체적 통제 조치들을 얘기하고 있는 것은 없다”고도 했다. 이와 관련 한·중 산업장관회의도 하반기를 목표로 일정을 조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고위 당국자는 동해 가스전 개발에 대해선 “이명박 정부 때 여러 오류도 있었지만 자원 개발을 너무 극단적으로 방치하는 수준으로 가서는 안 된다”며 “우리가 더 적극적으로 나서고 정상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 사업의 타당성과 관련해 “현재 4~5곳의 글로벌 메이저 자원개발업체들이 석유공사의 사업 설명회 이후 더 구체적인 자료 분석을 통해 투자 참여 의향을 보인다”며 “자료의 객관성에 대해 이들 업체도 문제 제기를 하지 않는 것으로 안다”고 했다.

[워싱턴=김은중 특파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