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이슈 IT기업 이모저모

네이버 창업자 이해진, 젠슨 황 엔비디아 CEO와 ‘소버린 AI’ 논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동아일보

왼쪽부터 이해진 네이버 글로벌투자책임자(GIO),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 최수연 네이버 대표. 네이버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네이버 창업자인 이해진 글로벌투자책임자(GIO)와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만나 소버린 인공지능(AI)에 대해 논의했다. 정보 주권을 강조하는 ‘소버린’은 국가나 기업이 자체적 인프라와 데이터를 활용해 독립적인 AI 역량을 구축하는 것을 의미한다.

27일 네이버가 인스타그램 계정을 통해 밝힌 내용에 따르면 이 GIO와 최수연 대표,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 등 팀네이버 주요 경영진은 25일(현지 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에 위치한 엔비디아 본사에서 황 CEO를 만났다. 이들은 각 지역의 문화와 가치를 반영한 소버린 AI의 중요성과 AI 모델 구축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네이버에 따르면 이번 만남은 엔비디아와 네이버가 시너지를 모색하는 자리였다. 엔비디아는 국가별 AI 모델 구축을 위한 하드웨어 인프라를 제공하고, 네이버는 초거대 AI 모델을 토대부터 개발할 수 있는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실제로 영어나 중국어가 아닌 언어를 기반으로 초거대 AI 모델 구축의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클라우드 기반의 AI 산업 생태계를 구축한 경험을 갖춘 기업은 전세계적으로 네이버가 유일하다.

소버린 AI 구축은 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를 보유한 데이터센터와 이를 구동할 수 있는 전력망, 데이터 수급을 위한 파이프라인과 생태계, 실제 서비스에 적용하는 서빙 과정까지 갖춰야 한다. 이때문에 주요 기업들 간의 긴밀한 파트너십이 필요한 상황이다.

네이버는 이해진 GIO가 소버린 AI의 필요성을 다시 한 번 강조했다며 소버린 AI 확산을 위해 관련 역량을 보유한 기업들 간의 긴밀한 협업에 공감 양사 모두 공감했다고 밝혔다.

네이버는 “양사는 일찍부터 소버린 AI의 중요성을 강조해온 대표적인 기업으로, 앞으로 긴밀한 협업을 통해 각 지역의 문화와 가치를 존중하는 다양한 AI 모델들이 나올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하경 기자 whatsup@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