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현대차 6년 만에 파업 '암운'…자동차 업계 줄파업 우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현대차 노조, 파업권 확보…기아·한국GM 임단협 신경전

업계, 전기차 수요 정체·내수 부진 속 생산 차질 등 우려

뉴스1

현대자동차 노사 관계자들이 23일 현대차 울산공장 본관 동행룸에서 2024년 임금협상 교섭 상견례를 하고 있다. 이날 상견례에는 이동석 현대차 대표이사와 장창열 전국금속노조위원장, 문용문 현대차 노조지부장 등 노사 교섭 대표 약 70명이 참석했다. (현대자동차 제공) 2024.5.23/뉴스1 ⓒ News1 조민주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박기범 기자 = 올해 임금 및 단체협상(임단협)을 둘러싼 노조간 신경전이 고조되면서 국내 완성차 업계의 연쇄 파업 우려가 커지고 있다. 업계 맏형격인 현대자동차(005380) 노조는 파업을 결의했고, 기아(000270), GM 한국사업장 등도 임단협 갈등이 고조되는 분위기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노조는 조합원 4만 3160명을 대상으로 파업 찬반 투표를 진행한 결과, 투표에 참여한 4만 1461명(96.06%) 중 3만 8829명(재적 대비 89.97%, 투표자 대비 93.65%)이 파업에 찬성했다.

현대차 노조는 중앙노동위원회로부터 조정 중지 판정도 받았다. 통상 중노위는 노사 입장 차이가 커 제대로 된 교섭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 교섭 중지를 결정한다. 노조의 파업 결의와 중노위 조정 중지 결정으로 합법적 파업권을 확보한 노조는 27일 중앙쟁의대책위원회 출범식과 회의를 열고 파업 향방을 논의할 계획이다.

파업권이 생기더라도 사측과 실무협상이 가능한 만큼 노조가 파업에 나설지는 미지수다. 다만, 앞선 협상과정에서 양측의 이견이 좁혀지지 않았던 만큼 향후 협상 과정도 쉽지 않을 전망이다. 현대차 노사는 정년 연장을 비롯해 기본급, 상여금, 주 4.5일제 근무제 도입 등을 두고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만약 노조가 파업에 돌입하면, 이는 2018년 이후 6년 만이다. 현대차 노조가 파업에 돌입할 경우 업계 전반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내달부터 임단협에 나설 기아가 당장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기아 노조의 요구사항은 현대차 노조와 큰 차이가 없어 사측이 수용 가능성은 낮다는 평가다.

한국GM 노조도 기본급 상향, 해고자 복직 등을 요구하며 사측과 대치하고 있다. 지난 17~18일에는 조합원 총회에서 쟁의행위에 대한 찬반투표를 진행, 총원 대비 87.2% 찬성으로 파업을 가결했다. 중노위에 노동쟁의 신청도 마치고 결과를 기다리고 있어 사실상 파업 준비에 돌입한 상황이다.

파업이 진행되면 완성차 업계는 어려움에 빠질 것으로 보인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에 따르면 올해 1~5월(승용차 기준) 국내 자동차 판매량은 전년 같은 기간 대비 7.7%포인트(p) 감소했다. 국내 업체 가운데 기아만 0.4%p 상승했고, 현대(-11.2%p), 한국GM(-16.4%p) 등 국내 완성차 업체 모두 판매량이 감소했다.

업계는 수출로 국내 판매 실적 부진을 만회하고 있지만, 노조가 파업에 돌입할 경우 수출에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을 겪고 있는 전기차 역시 파업에 직격탄을 맞을 것으로 보인다. 기아는 하반기 보급형 모델인 EV3를 출시해 전기차 대중화를 선도하겠다는 전략인데, 파업이 진행될 경우 공급에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다.

전기차 전환을 위한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상황에서 노조의 요구를 들어주기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정년연장, 신규인력 채용 등은 투자를 막고 인적 변화 등 산업 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응하는 데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pkb1@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