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6‧25 기념식 열린 대구 찾은 尹…"北에 단호히 대응" 강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가보훈부 주관 행사 대구서 열려…尹 "北에 확고한 대비 태세"

"지역 거주 유공자들에게 감사 전하려"…보수 결집 포석 해석도

노컷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25일 대구 엑스코에서 열린 '6·25전쟁 제74주년 행사'에 참석해 기념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25일 6‧25전쟁 제74주년 기념식이 열린 대구를 찾아 북한의 잇따른 도발과 북러 조약에 대해 "시대착오적 퇴행의 길을 고집하고 있다"며 단호하게 비판했다. 윤석열 정부 들어 6‧25전쟁 기념식이 서울이 아닌 지역에서 개최된 건 처음이다. 그만큼 최근 북러 간 밀착에 따른 엄중한 한반도 정세를 감안한 것으로 풀이된다.

"압도적 대응"…北에 강경 메시지 쏟아낸 尹

윤 대통령은 이날 대구 엑스코에서 열린 기념식에서 최근 북한이 "시대착오적 퇴행의 길을 고집하고 있다"고 비판하면서 "북한의 도발에 압도적으로, 단호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정부는 북한의 도발과 위협에 맞서 대한민국의 자유민주주의와 우리 국민의 삶을 든든하게 지키겠다. 우리 군은 어떠한 경우라도 북한이 대한민국을 감히 넘보지 못하도록 확고한 대비 태세를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평화를 위한 '힘'과 한미동맹의 중요성을 재차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평화는 말로만 지키는 것이 아니다"라며 "강력한 힘과 철통같은 안보태세야말로 나라와 국민을 지키고 이 땅에 진정한 평화를 이룩하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더 강력해진 한미동맹을 토대로 자유의 가치를 공유하는 국가들과 연대해 우리의 자유와 평화를 더욱 단단하게 지켜나갈 것"이라고 다짐했다.

이는 최근 북한의 움직임과 관련해 강경 메시지를 쏟아내던 입장의 연장선으로 풀이된다.

앞서 대통령실은 북한의 잇따른 오물풍선 살포에 대북 확성기 방송 재개로 맞선 데 이어, 지난 20일 오전 공개된 '러‧북조약'의 세부 내용을 공개적으로 규탄하고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기 지원 재검토 카드까지 꺼내 들었다.

윤 대통령은 전날 수석비서관회의를 통해서도 "한반도를 둘러싼 안보 상황이 엄중하므로 안보 태세에 만전을 기하라"란 메시지를 전했다.
노컷뉴스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25일 대구 엑스코에서 열린 '6·25전쟁 제74주년 행사'에서 6·25의 노래를 부르며 태극기를 흔들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TK, 6‧25 전환점 된 곳"…'보수 결집' 해석도

윤 대통령이 재임 이래 처음으로 참석한 6‧25전쟁 기념식 정부 행사가 대구에서 열렸다는 점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윤석열 정부 들어 서울이 아닌 지역에서 중앙정부(국가보훈부)가 주관하는 6‧25전쟁 기념식이 열린 것도, 윤 대통령이 직접 참석한 것도 처음이란 게 대통령실의 설명이다. 앞서 2022~2023년 6‧25전쟁 기념식(72‧73주년)은 서울 장충체육관에서 열렸고, 정부 대표로 한덕수 국무총리가 참석했다.

대통령실은 이에 대해 "6‧25전쟁의 전환점이 된 다부동·영천·포항 전투 등 대구·경북지역 전투를 집중 조명하고, 지방에 거주하는 참전유공자를 대통령이 찾아뵙고 감사의 마음을 전하기 위해 대구에서 개최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과정에서 대구를 택한 행보가 '보수 결집'을 위한 포석이란 해석이 나오기도 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기념식 행사가 끝난 뒤 부산 해군작전기지에 정박 중인 미국 루즈벨트 항공모함을 방문해 북한의 위협을 언급하고 한미동맹의 굳건함을 강조하기도 했다. 윤 대통령은 "북한은 핵과 미사일 능력을 고도화하면서 핵 선제 사용 가능성을 공언하며 한반도와 역내 평화를 위협하고 있다"며 "한미동맹은 그 어느 때보다 굳건하며, 세계에서 가장 위대한 우리의 동맹은 그 어떠한 적도 물리쳐 승리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그간 서울을 중심으로 했던 6‧25전쟁 정부 기념식을 의미가 있는 지역으로 넓혀보자는 취지였고, 6‧25전쟁 당시 반격의 토대가 마련됐던 다부동전투 등이 있었던 대구‧경북지역이 그 첫 장소가 된 것"이라며 "앞으로도 국가보훈부가 주관하는 6‧25전쟁 기념식은 서울 외에도 여러 지역을 대상으로 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 이메일 : jebo@cbs.co.kr
  • 카카오톡 : @노컷뉴스
  • 사이트 : https://url.kr/b71afn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