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IT기업 이모저모

네이버 노조 "이해진 창업자 '라인야후 사태' 해결하라" 요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네이버 노조 긴급 토론회 개최
최민희 의원 "라인야후 사태 시발점은 일본 기업"


더팩트

2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조국혁신당 이해민·김준형 의원, 더불어민주당 김용만·이용우 의원 등이 주최한 '라인 외교 참사의 나비효과' 긴급 토론 행사 참석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최문정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더팩트|최문정 기자] 네이버 노동조합 '공동성명'이 최근 불거진 '라인야후 사태'와 관련해 이해진 네이버 창업자 겸 글로벌투자책임자(GIO)를 비롯한 경영진의 책임감 있는 태도를 요구했다. 또한 이번 사태로 고용불안 등을 겪고 있는 라인플러스 등 근로자를 위한 실효성 있는 대책을 마련할 것을 촉구했다.

오세윤 민주노총 화섬식품노조 네이버지회 지회장은 2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조국혁신당 이해민·김준형 의원, 더불어민주당 김용만·이용우 의원 등이 주최한 '라인 외교 참사의 나비효과' 긴급 토론회에서 "라인야후 사태는 기울어진 운동장에서의 싸움"이라며 "정부의 무관심과 방치로 2500여명의 대한민국 국민이 고용불안에 떨고 있고, 애써 만든 서비스와 기술이 통째로 뺏길지 모른다는 좌절감을 겪고 있어 정부의 관심과 지원이 절실하다"고 밝혔다.

이어 "네이버의 경영진, 그리고 (라인야후 지주사) A홀딩스의 대표이자 이해진 GIO에게 요청한다"며 "지금 당장 정치적 압박과 눈앞의 경영적 손실만을 따져서 매각이라는 결정을 하게 되면, 서비스뿐만 아니라 결국 사람과 그들의 열정을 잃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앞서 공동성명은 라인야후 매각 이슈가 불거진 지난 3일부터 소규모 간담회를 통해 70명에 가까운 구성원을 만나 일하는 사람으로서 느끼는 심정을 청취했다. 노조는 그 결과 구성원들의 감정은 '불안', '좌절', '우려'로 요약된다고 강조했다.

더팩트

오세윤 네이버 노조 지회장은 '라인야후 사태'의 해결을 위해 정부와 네이버 경영진의 적극적인 참여를 촉구했다. /라인 홈페이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오 지회장은 "우리 기업을 향한 부당한 조치에 제대로 항의 조차 못 하는 정부와 명확한 의사결정을 하지 못하는 경영진, 하루가 멀다고 쏟아지는 매각 관련 뉴스에서 가장 불안한 것은 국내에 있는 8개 계열, 2500여 명의 라인 구성원"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언제 발생할지 모르는 구조조정 두려움, 애정으로 해오던 일을 지속할 수 없을지 모른다는 상실감, 고용 안정에 뚜렷한 법적·제도적 보호장치도 없는 현실에 라인 구성원의 불안감은 증폭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현장에서는 라인야후 사태 발발 이후 실제로 네이버와 (일본 현지의) 연결고리가 끊어지는 것을 우려하고 있다"며 "국내에 있는 라인플러스를 포함한 라인 계열사가 네이버와 오랜 협업을 통해 연결고리를 쌓아왔지만, 협업 중단, 정보 접근 제한, 일본의 더딘 프로세스 등 실제 업무에서 많은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고 털어놨다.

오 지회장은 "한국 개발자들이 10년 넘게 축적한 기술과 서비스가 하나씩 일본의 계획에 맞춰 넘어가는 것은 아닌지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일본 정부는 지난해 11월 라인야후의 메신저 서비스 라인에서 일본인 이용자 대규모 정보 유출 사태가 불거진 뒤 주요 주주인 네이버와의 관계 정리를 요구하고 있다. 일본 총무성은 지난 3~4월 두 차례의 행정지도를 통해 라인야후와 네이버의 기술적인 분리와 지분관계 개선 등을 요구했다. 라인야후는 오는 7월1일까지 일본 총무성에 네이버와 시스템 분리 계획 등을 담은 구체적인 보안책을 제출해야 한다.

현재 네이버는 일본 소프트뱅크와 라인야후 최대주주인 A홀딩스 지분을 두고 협상을 이어가고 있다. A홀딩스는 네이버와 소프트뱅크가 지분 절반씩 보유한 기업인 동시에 라인야후 주식 64.4%를 보유하고 있다.

더팩트

국회 과방위는 내달 2일 최수연 네이버 대표를 전체회의 증인으로 채택해 라인야후 관련 질의를 이어갈 예정이다. /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편, 국회 과학기술방송통신위원장인 최민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이번 라인야후 사태를 초래한 악성코드 감염이 일본 기업의 보안 솔루션에서 일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라인야후는 메신저 라인을 비롯한 대부분의 소비자향(B2C) 서비스를 일본 현지에서 자체 기술력을 활용해 관리·운영하고 있다. 다만, 과거 라인 서비스의 개발과 운영을 네이버가 담당했던 만큼, 업무 관리 시스템 등 일부를 네이버 클라우드와 공유하고 있다.

이번 개인정보 유출의 시발점은 네이버클라우드의 협력사의 직원 컴퓨터의 악성코드 감염으로 추측된다. 이 업체는 보안 솔루션을 제공하는 일본업체가 지정한 한국 내 파트너사인 것이 밝혀진 것이다.

최 위원장은 "라인 개인정보 유출 사건은 운영을 책임진 네이버 쪽 잘못을 지적하지 않을 순 없지만, 실제로는 보안 솔루션을 담당한 일본 기업과 그 파트너사의 보안에 구멍이 생겨서 벌어진 것"이라며 "그런데도 일본 정부가 노골적인 네이버 몰아내기로 기업활동의 자유를 침해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국회 과방위는 오는 7월 2일 전체회의에 최수연 네이버 대표를 증인으로 택해 현안 질의에 나서기로 했다. 당초 최 대표는 이날 열린 과방위 전체회의에도 참고인으로 나올 예정이었지만, 전날 밤 일정상의 이유로 불참의 뜻을 전했다.

munn09@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