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엔비디아 급락에…1.5조 쓸어담은 서학개미 '발동동'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닷컴버블’ 시스코·인텔 연상 우려 목소리

펀더멘털 문제 없어…탄탄한 실적 뒷받침

AI주 시장 기대 높아도…예상 넘는 실적 달성

추가 동력은 부족…마이크론 실적 촉각

[뉴욕=이데일리 김상윤 특파원, 김윤지·김인경 기자] 뉴욕증시를 뜨겁게 달궜던 인공지능(AI) 주식들의 랠리가 주춤하고 있다. ‘AI 황제주’ 엔비디아가 고점 대비 16%가량 떨어지면서 ‘서학개미’(해외주식에 투자하는 국내투자자)들은 밤마다 가슴을 졸이고 있다. 서학개미들은 6월 들어(3~24일) 엔비디아를 10억6184만달러(약 1조4733억원)치 순매수했던 만큼 현재 AI 기술주 조정이 일시에 그칠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데일리

시스코 및 인텔 주가 추이(그래픽=문승용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닷컴버블 붕괴’ 시스코·인텔 따라가나

엔비디아 주가가 사흘 연속 흘러내리며 2000년 초 ‘닷컴버블’ 붕괴가 연상된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당시 치솟던 주가가 한순간에 내려앉았던 시스코와 인텔의 수순을 엔비디아가 따라갈 수 있다는 것이다.

엔비디아는 지난 18일 135.58달러로 마감해 종가 기준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처음으로 시가총액 1위 기업에 이름을 올렸다. 지난 1년간 200% 가까이 주가가 올랐다. 하지만 이후 주가는 사흘 연속 하락해 고점 대비 16% 가까이 내려 조정 국면에 진입했다. 통상 주가가 고점 대비 10% 이상 떨어지면 기술적 조정 국면으로 본다.

1990년 상장한 시스코는 이후 10년 동안 1000배 이상 올라 당시 사상 최고치인 주당 80달러를 기록하며 2000년 3월 마이크로소프트를 누르고 시총 1위에 올랐다. 하지만 ‘닷컴버블’ 붕괴 이후 2002년 10월 8.60달러까지 폭락했다. 현재 시스코의 주가는 50달러 미만으로, 24년 전 고점에 다시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 반도체 황제로 불렸던 인텔도 2000년 8월 주당 75.89달러라는 역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으나 아직 고점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단기간 급등해 주가가 향후 12개월 예상 이익의 거의 45배에 이른 엔비디아를 보면 두 회사의 전철을 밟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이데일리

엔비디아의 GPU(그래픽 처리 장치)(사진=AFP)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특히 엔비디아의 매출의 40%는 마이크로소프트(MS), 메타, 아마존, 구글 등 클라우드컴퓨팅 제공업체인 이른바 ‘하이퍼스케일러’에서 나오는데 이들이 막상 AI 실적이 예상만큼 탄탄하지 않다는 이유로 투자를 줄일 경우 엔비디아의 주가는 빠르게 하락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엡솔루트 스트레티지의 찰스 카라 거시전략 헤드는 “하이퍼스케일러의 자본지출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더라도 엔비디아의 예상 매출 증가에 비하면 그다지 크지 않다”며 “이들의 현금흐름이나 엔비디아의 매출이 과도하게 추정되는 게 두렵다”고 우려했다.

하지만 엔비디아는 시스코와 인텔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꾸준히 실적을 내고 있어 펀더멘털(기초체력)이 탄탄하다는 점에서 명백한 차이가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미국 리서치회사인 데이터트랙의 니콜라스 콜라스 공동설립자는 “모든 기준으로 볼 때 엔비디아가 1990년대 후반 인텔보다 훨씬 더 나은 회사로 판단된다”며 “인텔은 2001년 닷컴버블 말기 매출 감소를 보여줬지만 엔비디아는 전년 대비 2배 이상의 매출이 기대된다”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우수한 마진, 더 나은 자산 회전율, 더 높은 자본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는 것을 고려하면 인텔보다 비즈니스가 확실히 더 좋다”고 평가했다.

블랙록 투자연구소는 여전히 AI 기업들이 높은 이익을 창출하고 있어 AI 주식이 더 순항할 것으로 보고 있다. 블랙록 투자연구소는 “AI에 대한 시장의 기대는 높지만, 기술 기업들이 높은 이익 기대치를 달성하고 또 이를 뛰어넘고 있다”며 “AI테마에 대한 비중 확대 의견을 유지한다”고 밝혔다.

이데일리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 (사진=AFP)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추가 동력 부족한 엔비디아…마이크론 실적에 달렸다

시장은 엔비디아를 비롯해 AI관련주들의 랠리가 지속하려면 추가 촉매제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무엇보다 AI기대감을 뒷받침할 만한 충분한 실적이 뒷받침되는 게 관건이다.

단기적으론 26일 마이크론 테크놀러지의 2분기 실적 발표가 주요 분기점이 될 전망이다. 세계 메모리반도체 3위인 마이크론은 가장 빨리 실적을 발표하기 때문에 메모리 반도체의 ‘실적 풍향계’로 꼽힌다.

시장에서는 메모리반도체의 공급과 수요 균형이 올해 내내 타이트하게 유지돼 적어도 3분기까지는 전분기 대비 두자릿수 가격상승률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씨티그룹은 엔비디아에 납품하는 고대역폭메모리(HBM)와 D램 가격 상승으로 매출과 이익이 모두 월가 예상치를 웃돌 것이라며 목표주가를 150달러에서 175달러로 높여 잡았다. 마이크론이 밝히는 HBM수요에 따라 엔비디아를 비롯해 AI관련주들의 주가 향방이 달라질 전망이다.

아울러 엔비디아는 같은 날 연례 주총을 열고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 등 경영진의 보상안 등을 의결할 예정이다. 매번 혁신을 보여준 ‘검은 가죽 잠바’의 사나이가 시장을 또다시 깜짝 놀라게 할 만한 소식을 꺼내들지에 대해 투자자들의 관심도 쏠리고 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