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달 뒷면 토양 최초로 가져왔다…중 ‘창어6호’ 네이멍구 초원 안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인류 최초로 달 뒷면 토양 표본을 싣고 온 중국의 창어 6호가 25일 오후 중국 네이멍구 초원에 안착했다. 웹방송 갈무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국의 달 탐사선이 인류 사상 처음으로 달 뒷면 토양 표본을 지구로 가져왔다.



중국 국가우주국(CNSA·중국국가항천국)은 달 뒷면 표본을 실은 창어 6호 귀환선이 25일 오후 2시7분(한국시각 오후 3시7분) 낙하산을 펼친 채 네이멍구 쓰쯔왕기 초원에 안착했다고 발표했다. 이로써 지난 5월3일 지구를 출발한 창어 6호의 달 표본 수집-회수를 위한 우주여행이 53일 만에 성공적으로 막을 내렸다.



창어 6호가 달 뒷면 표본을 어느 정도 가져왔는지는 즉각 알려지지 않았다. 애초 수집 목표는 2kg이었다.



창어 6호가 표본을 채취한 곳은 달 남극 뒷면 아이켄 분지의 아폴로 충돌구다. 달 형성 초기인 40억년 전부터 20억년 동안 소행성 충돌과 화산 폭발 사건이 반복적으로 일어난 곳으로 추정된다.



한겨레

달 남극 뒷면 아이켄 분지 내 아폴로 충돌구에 착륙한 중국의 창어 6호. 미니 로버가 빠져나와 찍은 셀카다. 중국 국가우주국(CNSA·중국국가항천국)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달 앞면·뒷면 토양 수집한 유일한 나라







지난 2일 이곳에 착륙한 창어 6호는 이틀 동안 드릴을 이용해 표면과 땅속 토양과 암석을 채취해 용기에 담은 뒤 4일 지구 귀환길에 나섰다. 창어 6호는 이틀 만인 6일 지구 귀환선과 도킹에 성공한 뒤 달 궤도를 선회하다 38만km에 이르는 지구로의 귀환 여행을 시작했다.



창어 6호가 지구 귀환에 성공함으로써 중국은 달 앞면과 뒷면 표본을 모두 수집한 유일한 나라가 됐다. 앞서 창어 5호는 2020년 달 앞면 표본 1.7kg을 갖고 돌아왔다.



달은 앞면과 뒷면의 지형이 매우 다른 천체다. 앞면은 ‘달의 바다’(Lunar mares)로 불리는 현무암 평원이 전체의 3분의 1 지역에 걸쳐 광활하게 펼쳐져 있으나, 뒷면은 평원 지역이 전체의 2%에 불과하다. 대신 수많은 충돌구들이 만든 고지대가 많다. 과학자들은 앞면의 평원은 땅속의 물질들이 분출돼 쌓인 결과이고, 뒷면은 숱한 소행성 충돌의 흔적으로 보고 있다.



한겨레

창어 6호가 토양과 암석 표본을 수집한 달 남극 아이켄 충돌분지 내 북동쪽의 아폴로 충돌구(빨간색 네모). 중국 국가우주국(CNSA·중국국가항천국)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국의 4단계 달 탐사 추진 전략





중국의 달 탐사 프로그램은 4단계로 나눠 추진되고 있다.



제1단계는 달 궤도에 도달하는 것으로 2007년 창어 1호, 2010년 창어 2호가 임무를 성공적으로 마쳤다.



제2단계는 무인 탐사선을 달에 착륙시키는 것으로 2013년 창어 3호는 달 앞면, 2019년 창어 4호는 달 뒷면 착륙에 성공했다. 이를 통해 중국은 달에 세 번째, 달 뒷면에 첫 번째로 착륙한 나라가 됐다.



제3단계는 달 표본을 채취해 지구로 가져오는 것으로, 2020년 창어 5호가 달 앞면에서, 2024년 창어 6호가 달 뒷면에서 각각 표본을 싣고 왔다.



한겨레

두 얼굴의 달. 왼쪽이 달 앞면, 오른쪽이 달 뒷면이다. 검은 부분이 ‘달의 바다’로 불리는 현무암 평원이다. 나사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다음 달 탐사선은 2026년 창어 7호





앞으로 진행할 4단계는 2030년대에 달 남극 근처에 연구기지를 구축하는 것이다. 중국은 이를 위해 2020년대 후반에 두 차례 더 달 탐사선을 보낸다. 2026년엔 달 남극 자원을 탐사할 창어 7호, 2028년엔 달 연구기지 건설을 위한 기초 조사를 담당할 창어 8호를 발사한다.



이어 2030년까지 달 유인 착륙을 시도하고, 이후 국제 협력 방식을 통해 달 기지 건설을 시작한다는 구상이다. 중국이 주도하는 국제달연구기지(ILRS) 프로그램엔 현재 러시아를 비롯해 튀르키예, 베네수엘라, 파키스탄, 아제르바이잔, 벨로루시, 남아프리카공화국, 이집트, 타이, 니카라과, 세르비아가 서명했다.



중국 국가우주국은 이들 국가의 역할을 조정할 국제달연구기지협력기구(ILRSCO) 창설을 준비하고 있다.



곽노필 선임기자 nopil@hani.co.kr



▶▶권력에 타협하지 않는 언론, 한겨레 [후원하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오직 한겨레에서 볼 수 있는 보석같은 기사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