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3.5조' 대어 시프트업 다음달 상장…김형태 대표 "게임 개발 역량 강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공모가 상단 가격 적용시 시가총액 최대 3조4800억 원

'승리의여신:니케' 일본서 흥행…'글로벌 톱5 서브컬처 IP' 자리매김

뉴스1

김형태 시프트업 대표이사가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63컨벤션센터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발언하고 있다.(시프트업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김민석 문혜원 기자 = 올해 상반기 기업공개(IPO) 시장 최대어인 시프트업이 다음 달 코스피(KOSPI)에 상장한다. 상장 후 예상 시가총액은 2조 7300억~3조 4800억 원으로 국내 게임사 중 기업가치로 4위에 오른다.

김형태 시프트업 대표이사는 25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63컨벤션센터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상장 후 사업 전략과 비전을 공개했다.

김 대표는 "개발자 중심 기업이라는 정체성을 잃지 않으면서 고품질의 게임을 빠르게 선보이고 있다"며 "상장 이후 게임 개발 인프라 등 개발 역량을 강화해 회사 경쟁력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시프트업은 서브컬처 장르 개발에 특화한 게임사로 엔씨소프트 그래픽 디자이너 출신인 김형태 대표가 2013년 설립했다. 2022년 11월 텐센트를 통해 출시한 '승리의 여신: 니케'가 일본 등서 크게 흥행하면서 몸값이 치솟았다.

니케는 '글로벌 톱5' 서브컬처 IP(지식재산권)로 내러티브 중심 세계관이 특징이다. 주기적인 콘텐츠 업데이트에 힘입어 출시 1년 만에 7억 달러(약 9700억 원)의 매출을 거뒀다.

회사는 추가 '히트 IP' 확보를 위해 올해 4월엔 플레이스테이션5 플랫폼 기반 '스텔라 블레이드'를 출시했다.

총 공모 주식 수는 725만 주로, 100% 신주 발행 예정이다. 희망 공모가 범위는 4만 7000원~6만 원, 공모 규모는 공모가 범위 상단 기준 4350억 원이다.

공모가 상단 가격 적용 시 기업가치는 3조 원에서 3조 4000억 원대로 게임사 중 4위에 오른다.

현재 시가총액 1위는 크래프톤(24일 종가기준 13조 5000억 원)이다. 뒤이어 △넷마블(4조 6415억 원) △엔씨소프트(4조 3469억 원) △위메이드(1조 3970억 원) 순이다.

현재 회사 최대주주는 김형태 대표와 특수관계자(임원 포함)로 지분 48.84%를 보유하고 있다. 2대 주주는 중국 텐센트 자회사 에이스빌(Aceville Pte. Ltd.)로 40.03%를 갖고 있다. 공모 이후 에이스빌의 지분은 35.03%로 보호예수 기간은 상장 후 6개월이다.

시프트업은 27일까지 기관 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을 진행해 공모가를 확정하고 7월 2일부터 이틀간 일반투자자 청약을 진행한다.

시프트업은 공모 자금을 IP 확대와 게임 개발자 영입, 개발 인프라 강화 등에 쓸 예정이다.

김형태 대표는 "몸집 불리기에 나선 타사들과 달리 자사는 확실히 성공할 수 있는 파이프라인을 신중하게 만드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며 "상장을 계기로 브랜드 가치를 높여 실력 있는 개발자를 계속 영입하겠다. 초심을 잃지 않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ideaed@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