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대안 없다'지만...이재명 연임을 향한 우려의 시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사법리스크 방탄·일극체제 비판 피하기 어려워
비호감도 상승? 중도 확장력에도 우려


더팩트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연임이 사실상 공식화됐다. 이 전 대표를 대신할 대안이 없다는 현실론이 지배적인 가운데 당장 당내에서는 일극 체제 강화에 대한 우려가 나온다. 24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해 생각에 잠긴 이 대표. /배정한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더팩트ㅣ국회=조성은 기자]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연임이 사실상 공식화됐다. 이 전 대표를 대신할 대안이 없다는 현실론이 지배적인 가운데 이 전 대표 앞에 놓인 과제도 적잖다. 당장 당내에서는 일극 체제 강화에 대한 우려가 나온다. 사당화 논란과 이로 인한 부정적 이미지로 중도 확장력이 약해질 것이란 점에서다. 사법리스크가 재점화될 수 있다는 점도 고민거리다.

25일 취재를 종합하면 이 전 대표는 머지않은 시일 내 전당대회 출마 선언을 할 예정이다. 이 전 대표는 전날(24일) 당대표직을 사퇴하면서 출마의 변을 밝히지는 않았다. 그러면서도 그는 "아무래도 (전당대회에) 출마하지 않을 것으로 확정했다면 (당대표직에서) 사퇴하지는 않았을 것 같다"며 "얼마 전까지만 해도 (다른 사람들이) 연임 얘기를 할 때는 저도 웃어넘겼는데, 결국 웃어넘길 수 없는 상황으로 전개됐다"며 연임 의지를 밝혔다.

이 전 대표의 연임은 예견된 수순이지만 우려도 나온다. 여권에서는 이 전 대표의 연임을 두고 '사법리스크 방탄'이라고 공세를 펼쳤다. 이날 국민의힘은 곽규택 수석대변인 명의의 논평에서 "무리수를 써 가며 연임에 목을 맸던 것은 점점 짙어지는 사법리스크에 대한 방어권 속셈과 동시에 초조함의 발로일 것"이라며 "아무리 애써도 이 전 대표는 11개 혐의로 4개의 재판을 동시에 받는 피의자"라고 비판했다.

한 초선의원은 통화에서 "이 전 대표가 연임을 안 한다고 사법리스크가 없어지는 것은 아니다"라면서도 "당대표의 사법리스크에 당차원에서 대응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초선의원은 "윤석열 정권의 '정적 죽이기'는 이 전 대표가 당대표가 아니어도 계속될 것"이라면서 "당대표로 있는 게 방어권 행사에 유리하지 않겠냐"라고 봤다.

더팩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난 21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대장동 배임 및 성남FC 뇌물 혐의' 관련 34차 공판에 출석한 뒤 휴정 시간이 되자 법정을 나서고 있다. /장윤석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특히 중도 확장력에 우려가 쏟아진다. 사당화 논란과 일극 체제에 대한 비판은 피하기 어렵다. 이 전 대표는 당원들의 압도적인 지지를 받고 있지만 연임에 대한 국민 여론은 부정적이다. 한국갤럽이 <뉴스1> 의뢰로 지난 14~15일 전국 성인 1008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 응답률 10.4%)에서 이 전 대표의 연임에 대해 응답자의 47%는 '좋지 않게 본다'고 답하며 '좋게 본다'는 42%보다 높게 나왔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민주당이 강도 높은 대여투쟁을 벌이고 있다는 점 또한 이 전 대표에게 '강성'·'정쟁' 이미지가 쌓여 피로감을 줄 수 있는 부분이다. 한 중진의원은 통화에서 "중도 확장력에 대해 우려가 있는 것이 사실"이라고 짚었다. 그는 "이 전 대표 외에 다른 대안이 없다. 당원의 여론도 이 전 대표의 연임이 불가피하다고 보고 있다"면서도 "선거는 당원만으로 치르는 것이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또 다른 중진의원도 "국민 정서는 이 전 대표와 민주당을 동일시하고 있다"고 봤다. 그는 "누가 당대표가 되든 현안에 대한 민주당의 입장과 태도가 중도 확장으로 이어질 것"이라며 "지금처럼 여야 갈등이 심하면 이 전 대표에게도 '사사건건 시비 건다'는 이미지가 생길 수 있다"고 우려했다.

최수영 정치평론가는 통화에서 "대선가도에 단 하나의 변수도 초래하지 않겠다는 의지"라고 평가했다. 그는 "다만 이 전 대표가 민심의 바다를 건널 수 있을지는 알 수 없다"며 "오히려 중도 확장력 등을 고려했을 때 이번에는 대리 내세우고 물러나 쉬는 게 나을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본인의 정치적인 이미지를 소비하고 사당화 논란, 사법리스크 등 이 전 대표에 대한 피로도가 높아질 수 있다는 점도 전략적으로 고민해 봐야 할 부분"이라고 짚었다.

pi@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