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2020년 취업계수 5.4명…5년 전보다 1.1명 하락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비스 분야 2.5명 하락…상용직 여성 비중 커져

경제 성장 시 노동생산성 높아져 취업계수 하락

[아이뉴스24 정태현 기자] 지난 2020년 기준 우리나라 전체 산업의 취업계수가 5년 전에 비해 1.1명 하락했다. 서비스 분야에서 큰 폭(2.5명)으로 하락했다.

2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2020년 취업계수는 전체 평균 5.4명으로 2015년 6.5명에 비해 1.1명 하락했다.

아이뉴스24

[표=한국은행]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취업계수는 명목 금액 10억원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취업자 수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경제가 성장하면 자동화가 고도화해 노동생산성이 높아지면서 취업계수가 낮아진다.

서비스 분야 취업계수가 10.2명에서 7.7명으로 2.5명 줄었다. 도소매 및 상품 중개 서비스(-5명)와 사업 지원 서비스(-5.1명)에서 큰 폭으로 줄었다. 정영호 한은 경제통계국 투입산출팀장은 "서비스 산출액은 증가했지만, 취업자는 감소한 데서 기인했다"고 설명했다.

서비스 산출액은 1722조원에서 2246조원으로 30.4% 증가했다. 취업자는 1764만명에서 1737만명으로 1.5% 줄었다.

고용계수는 5년 전에 비해 0.8명 하락해 4.0명을 기록했다.

2020년 취업유발계수는 9.7명이다. 5년 전보다 2.0명 하락했다. 취업유발계수는 특정 상품에 대한 최종 수요 10억원이 발생할 때 직·간접적으로 늘어나는 취업자 수를 말한다.

2020년 총취업자는 2444만명으로 5년 전 2483만명에 비해 1.6%(39만명) 줄었다. 상용직을 중심으로 임금근로자 비중이 73.6%에서 74.4%로 상승했다. 도소매 및 상품 중개 서비스(11.8%p)와 부동산 서비스(11.6%p)에서 상승 폭이 컸다. 상용직 중 여성 비중은 34.3%에서 37.2%로 커졌다.

/정태현 기자(jth@inews24.com)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