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한미일 공동성명 "북러 군사 협력, 가장 강력히 규탄"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북러 밀착에 대응해 3국 폅쳑 강화 방침"…한미 외교차관 "북 도발에 굳건한 확장억제 유지"

노컷뉴스

(서울=연합뉴스) 황광모 기자 = 김건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정박 미국 국무부 대북고위관리, 나마즈 히로유키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미일 3국이 최근 북러 간 군사 협력 밀착 심화로 한반도 안보 위협이 높아졌다며 이를 강력히 규탄했다.

조구래 외교부 외교정보전략본부장과 정박 미국 국무부 대북고위관리, 나마즈 히로유키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은 24일 공동성명을 내고 "한미일은 북한에서 러시아로의 지속적인 무기 이전을 포함한 북러 간 군사 협력 심화를 가장 강력한 용어로 규탄한다"고 밝혔다.

이어 "북러의 무기 이전은 우크라이나 국민의 고통을 연장시키고 다수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위반하며 동북아시아와 유럽의 안정을 위협한다"고 지적했다.

지난 19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체결한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에 대해서도 우려를 나타냈다.

3국은 "(조약에서) 강조된 북러 파트너십의 발전은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유지하고 국제 비확산 체제를 준수하며 우크라이나 국민이 러시아의 잔인한 침략에 맞서 자유와 독립을 수호하는 것을 지원하려는 모든 이들에게 중대한 우려사항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향후 한미일은 북러 간 밀착 강화에 대응해 3국 간 협력을 더욱 긴밀히 할 방침이다.

3국은 아울러 "미국의 대한민국과 일본 방위에 대한 공약은 철통같다"라며 "또한 한미일은 대화의 길이 열려 있음을 재확인하며 북한이 추가 도발을 중단하고 협상으로 돌아올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김홍균 외교부 제1차관은 이날 오전 커트 캠벨 미 국무부 부장관과 10일만에 다시 유선 협의를 갖고 푸틴 러시아 대통령 방북 등 러북협력 대응방안, 역내 주요 현안에 및 역내 주요 현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날 통화는 지난 20일 한미 외교장관 간 통화에서 푸틴 대통령 방북 관련 한미 간 공조를 강화해 나가기로 한 데 따른 것이라고 외교부는 설명했다.

캠벨 부장관은 한국 측이 러북 간 불법 군사협력 강화 등 안보 위협에 대응하여 취하고 있는 어떠한 조치도 적극 지지한다고 말했다. 양 차관은 북한이 불법적인 러북협력을 과신해 추가 도발할 가능성을 예의주시하고 굳건한 확장억제를 바탕으로 철저한 대비태세를 유지해 나가자고 하고 러북협력 대응을 위한 한미간 긴밀한 공조를 지속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지난 16일 열린 한중 외교안보대화 결과에 대해서도 의견을 나눴다. 캠벨 부장관은 한중간 소통을 통한 양국 간 외교 강화 노력을 평가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양 차관은 역내 주요 현안들에 대해서도 의견을 교환했으며, 상호 형성된 깊은 유대 관계를 바탕으로 수시로 긴밀히 소통하고 협력을 계속해 나가기로 했다"고 말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 이메일 : jebo@cbs.co.kr
  • 카카오톡 : @노컷뉴스
  • 사이트 : https://url.kr/b71afn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