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北, 1월까지 반년간 러에 포탄 160만발 지원 가능성"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WP·선진국방연구센터 입수 자료 분석

폭발물 7.4만톤 러 극동 항구로 들어와

러 현장 곳곳으로 운송···탄약 가능성 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북한이 지난해 8월부터 올 1월까지 러시아에 7만 4000톤(t) 이상의 폭발물을 공급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워싱턴포스트(WP)는 22일(현지 시간) 미국 비영리 싱크탱크 선진국방연구센터(C4ADS)가 입수 및 분석한 러시아 내부 교역 자료를 인용해 러시아 극동 항구 2곳에서 우크라이나 인근 서부 국경을 따라 총 16곳에 이같은 폭발물이 보급됐다고 보도했다. 해당 규모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사용하는 포탄 약 160만 발과 맞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WP와 C4ADS가 위성 사진과 해상 교통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러시아 선박이 지난해 8월부터 올해 1월까지 북한과 러시아를 오간 정황이 포착됐다. 러시아군과 연계된 러시아 국적 선박들은 북한 나진항에 정박한 뒤 잇따라 러시아 보스토치니항과 두나이항에 입항했다. 자료에 따르면 대부분의 폭발물은 항구에 도착한 지 1주 만에 러시아 현장의 곳곳으로 운송되기 시작했다. 확인된 러시아 국적 선박들은 ‘레이디R’호, ‘앙가라’호, ‘마리오’호, ‘마이아1’호 등 4척으로 앞서 미국과 한국 언론을 통해 러시아로 북한 무기를 운송하는 데 관여한 선박들로 지목된 바 있다. 영국 싱크탱크 왕립합동군사연구소(RUSI) 역시 비슷한 시기 북한 나진항과 러시아 두 항구 사이에 27개 선적물이 수송된 것으로 파악됐으며 이를 통해 수천 개의 컨테이너가 이동했다고 추정했다.

C4ADS는 폭발물들은 러시아 내 운송된 장소로 미뤄볼 때 탄약일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폭발물이 옮겨진 러시아 전역 16개 현장 가운데 12곳이 탄약 저장 시설 근처라는 주장이다. 미국 싱크탱크인 카네기국제평화재단의 다라 마시콧 러시아·유라시아프로그램 선임연구원 역시 자료를 분석한 후 “기재된 장소 인근의 시설들은 포탄과 로켓 저장고와 연계된 곳”이라며 “포탄에서 로켓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종류의 탄약이 러시아로 전달됐을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지적했다.

정혜진 기자 sunset@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