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지중해서 3300년전 난파선 발견…"고대 세계 이해 바꿔놓는 것"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항아리 가득 실려…해상 무역 중 난파한 듯

“고대인들, 지중해 가로지르는 능력 있었다”

지중해 해저에서 3000여년 전의 난파선이 발견됐다. 이는 지중해 동부 심해에서 발견된 첫 난파선이자 가장 오래된 난파선이다.

21일(현지시간) 미국 CNN방송은 지중해 해저에서 기원전 13~14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난파선이 발견됐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스라엘 유물관리국은 성명을 통해 해안에서 90㎞ 떨어진, 수심 1.8㎞ 깊이 해저에 난파선이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 난파선은 영국의 천연가스 업체 에너지안(Energean)이 해저 환경 조사를 하던 중 발견됐다.

이스라엘 유물관리국 해양고고학 부서의 책임자인 야코브 샤빗은 이 배가 폭풍이나 해적을 만나 난파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아시아경제

지중해에서 발견된 난파선에 실려 있던 항아리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3300년 된 이 난파선에는 수백개의 항아리가 실려 있었다. 선상에서 발견된 항아리는 기름, 포도주, 과일 등을 담았을 것으로 보이는 상업용 용기인 것으로 알려졌다.

샤빗은 “이 항아리들이 당시에 바다를 건너 해상 무역이 이뤄졌다는 것을 말해준다”면서 “고대 세계의 항해에 대한 이해를 바꿔놓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고대인들이 해안이 보이지 않고 수평선만 보이는 가운데 지중해를 가로지르는 항해 능력이 있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는 것이다.

한편 현재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난파선은 스페인 국왕 펠리페 5세(1683~1746년)의 함대에 속해 있던 스페인 보물선 ‘산호세’호다. 카리브해에서 발견된 이 범선은 당시 가장 큰 규모의 배였다.

산호세호는 스페인 식민지였던 페루 광산에서 가져온 금, 은, 에메랄드 등 귀중품을 가득 싣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보물의 가치는 현재 기준으로 200억달러(약 27조27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예상된다.

최승우 기자 loonytuna@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