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후티 공격에 치솟는 해상 운임…커지는 공급망 우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운임 1200→7000달러

파나마운하 가뭄·미중갈등·파업 겹쳐

예맨 후티 반군의 홍해 상선 공격 등으로 글로벌 해상 운임이 상승하고 있다.

24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는 40피트 표준 컨테이너 1대를 중국에서 유럽으로 운송하는 데 드는 비용은 작년 10월 1200달러에서 최근 7000달러까지 치솟았다고 화물분석회사 제네타를 인용해 보도했다.
아시아경제

홍해에서 운항 중인 영국 구축함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1만5000달러를 기록했던 2021년 말보다는 낮지만, 코로나19 발생 이전 가격의 약 5배다.

태평양을 가로질러 상품을 운송하는 요금도 비싸긴 마찬가지다. 중국 상하이에서 미국 로스앤젤레스까지 운임은 6700달러, 뉴욕까지 운임은 8000달러다. 작년 12월까진 2000달러였는데 6개월 새 3배 뛴 것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프레이토스를 인용해 40피트 컨테이너를 운송하는 데 드는 비용이 1년 전보다 3배 이상 뛰었으며, 2022년 9월 이후 가장 비싸다고 보도했다. WSJ는 "기업들이 부족한 선박 공간을 놓고 경쟁하면서 40피트 컨테이너 운송 가격이 2만달러를 넘었던 팬데믹 시기 수준에 가깝게 운임이 치솟을 수 있다"고 밝혔다.

피터 샌드 제네타 수석애널리스트는 "아직 고점에 도달하지 않았다고 본다"며 운임 추가 상승 가능성을 예고했다.

최근 해상 운임이 인상된 가장 큰 요인은 가자지구 전쟁에서 팔레스타인을 지원하는 예맨의 후티 반군이 홍해를 지나가는 상선을 표적으로 삼았기 때문이다. 최근 석탄을 운반하던 그리스 소유 선박 등 이 지역을 지나던 선박 두 척이 침몰하기도 했다. 이에 아시아-유럽 최단 거리인 수에즈 운하를 통과하는 대신 아프리카 대륙을 돌아가면서 연료 소비가 늘고, 운송 시간도 길어졌다. 운송 비용 인상이 불가피해진 것이다.

또 북미와 남미 사이에 위치한 파나마 운하의 경우 가뭄으로 수위가 낮아지며 한때 통과 선박 수가 줄었고, 대기 시간도 길어졌다. 현재는 장마로 제한이 완화됐지만 안심하기는 어렵다.

무역 갈등도 겹쳤다. 조 바이든 행정부가 중국산 제품에 대해 관세를 대폭 인상하기로 하면서 일부 미국 수입 업체들은 주문을 크게 확대했다. 또 미국 동부와 동남부 항만 노동자들의 파업 가능성이 대두되며 우려가 더욱 커지고 있다.

이 같은 상황이 겹치자 팬데믹 시기 공급망 혼란을 겪은 수입 업체들은 운임 추가 상승을 우려하며 일찌감치 재고 확보에 나서고 있다. WSJ는 "수입 업체와 수출 업체는 성수기를 앞둔 향후 몇 달간 수요가 증가하며 예비 물량이 늘 수 있다는 점을 가장 우려한다"고 밝혔다.

조나단 로치 브레이머 컨테이너 운송 애널리스트는 "화주들이 평소보다 더 일찍 예약하고, 더 많은 컨테이너를 예약하면서 화물량이 급증하고 있다"며 "혼잡이 심해지면 화물 예약이 더 많아져서 상황이 더욱 악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운임 상승은 기업 실적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영국의 DFS퍼니처는 이번 달 수익 전망을 절반으로 줄였다. 회사 측은 "홍해 항로 문제가 지속되면서 고객 배송이 지연되고, 화물 비용이 높아졌다"며 "거의 1800만달러에 달하는 상품이 지연됐다"고 밝혔다.

운임 상승에 더불어 해운사들이 예약을 취소하거나, 컨테이너를 싣기 위해 특별 취급 수수료나 프리미엄 서비스 수수료 등 추가 비용을 요구하면서 수출입 업체들의 고통은 가중되고 있다.

NYT는 "팬데믹 결과는 파악하기 어려웠고, 제품 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잘못 계산했었지만 모든 사람이 전염병은 결국 끝난다는 것을 이해했다"며 "반면 후티 반군의 공격이 수에즈 운하에 미치는 영향은 예측이 어려운 엄청난 지정학적 변수를 수반한다"고 밝혔다.

해운사들은 지정학적 긴장이 완화돼야 물류와 운임이 정상화될 것으로 전망한다. 닐스 하우프트 하파그로이드 대변인은 "가자 전쟁이 해결되고 선박이 홍해로 돌아가면 무역 흐름은 정상으로 돌아올 것"이라며 "추가 수용 여력이 있기 때문에 운임은 떨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오수연 기자 syo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