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경북에 선물보따리, '박정희 향수' 자극도…尹, TK 결집 행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3개월 만 지방서 민생토론…수소경제·SMR 지원 약속

전통시장 민심 청취 등 하루 일정 경북에 '올인'

뉴스1

윤석열 대통령이 20일 경북 경산시 영남대 경산캠퍼스 천마아트센터에서 열린 스물여섯 번째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2024.6.20/뉴스1 ⓒ News1 송원영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정지형 기자 = 보수세가 강한 경북을 찾은 윤석열 대통령이 20일 각종 지역 숙원사업의 속도감 있는 추진을 약속하며 선물 보따리를 풀어놨다.

정치권에서는 윤 대통령이 총선 참패 후 지지부진한 대구·경북(TK) 민심을 살피고 핵심 지지층 결집에 나섰다는 분석이 나온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경북 경산에 있는 영남대학교에서 '동북아 첨단 제조혁신허브, 경북'을 주제로 26번째 민생토론회를 주재했다.

윤 대통령이 지방에서 민생토론회를 연 것은 지난 3월 충북 이후 3개월 만이다.

지난 4·10 국회의원 선거 이후 진행 중인 민생토론회 시즌 2로는 두 번째 행사다. 지난달 14일에는 '따뜻한 노동현장'을 주제로 시즌 2 첫 민생토론을 진행한 바 있다.

윤 대통령은 이번 민생토론에서 경북 지역 발전 대책 관련 정책을 대거 공개하는 한편, 지역 숙원사업의 신속 추진 의지를 강하게 내비쳤다.

윤 대통령은 경북이 새롭게 도약할 수 있도록 산업 구조 혁신이 필요하다며 △8000억 원 규모 동해안 수소경제 산업벨트 조성 지원 △3000억 원 규모 경주 소형모듈원전(SMR) 국가산업단지 조성 △구미 산단 반도체 연구개발(R&D) 실증센터 설립 △포항 첨단 제조 인큐베이팅 센터 구축 등을 약속했다.

그러면서 대구-성주 간 고속도로 건설과 영일만 횡단 고속도로 구축, 경주-울산 간 국도 7호선 확장, 호미곶 국가 해양생태공원 조성 등을 공언했다.

윤 대통령은 경북과 대구 통합 방안을 두고도 "지역 발전의 새로운 원동력이 되도록 중앙정부 차원에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특히 "경북은 대한민국의 오늘을 만든 주역"이라며 각별한 애정을 드러냈다.

경북이 광주와 전북, 제주와 함께 아직 민생토론회가 열리지 않은 지역이었던 만큼 뒤늦은 개최에 따른 지역주민 불만을 달래려는 의도로도 풀이된다.

특히 TK 민심이 좀처럼 회복되고 있지 않은 점도 이날 윤 대통령 행보를 주목하게 하는 요인 중 하나다.

한국갤럽이 지난 13일 공개한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TK에서 대통령 직무수행을 부정평가한 비율은 46%로 긍정평가(42%)와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다(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 지역별로 보면 경북이 긍정평가가 가장 높긴 하지만 부정평가와 차이가 크지는 않다.

일각에서는 윤 대통령이 총선 이후 이른바 '양정철·박영선 기용설'로 전통적 지지층에서 이탈이 발생했다는 시각도 있다.

흔들리는 지지층을 다잡기 위해 경북에서 민생토론을 열고 지역주민들과 스킨십에 나섰다는 해석이 나오는 지점들이다.

윤 대통령이 민생토론에서 '새마을 운동'을 여러 차례 언급하고 행사 직후 영남대 역사관에서 박정희 전 대통령 기록물을 둘러본 것도 지지층 결집을 위한 움직임으로 읽힌다.

윤 대통령은 민생토론 외에도 경산시장을 방문해 민심을 청취한 뒤 포항으로 이동해 지방시대위원회 회의와 기회발전특구 투자협약식에 참석하는 등 이날 하루 일정을 온전히 경북에서 수행하며 공을 들였다.

다만 대통령실 관계자는 뉴스1과의 통화에서 "기회발전특구 지정을 겸해서 경북에서 민생토론을 열었다"라며 "모든 지역을 다 돌아다니며 지역 민심을 읽고 토론하겠다는 약속을 지키는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광주와 전북, 제주 등 나머지 지역에서도 민생토론을 할 것"이라며 "시작 경북"이라고 말했다.

kingkong@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