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더본코리아 '녹취록' 설전…가맹점주들 "악마화 프레임 멈춰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더본코리아 '허위·과장 매출' 약속 진실공방 양상

연돈볼카츠 가맹점주들 "거짓·매도로 농락 말아달라"

본사 점포개설 담당자 녹취록 공개…"사실 왜곡"

금전 요구 두고는 "손해배상받고 싶은 마음 매도될 일인가" 반박

[이데일리 남궁민관 기자] “더본코리아의 약속과 달리 턱없이 낮은 수준의 매출이 나오다보니 상생 노력을 보여달라 요청한 것뿐이다. 왜 이렇게까지 각을 세우는지 이해할 수가 없다.”

백종원 대표가 이끌고 있는 더본코리아와 갈등을 빚고 있는 ‘연돈볼카츠’ 가맹점주들이 20일 더본코리아에 “거짓과 매도로 더이상 점주들을 농락하지 말아달라”고 요구하고 나섰다. 최근 더본코리아가 공정거래위원회에 ‘셀프 신고’를 한 사실과 함께 일부 가맹점주들이 금전적 보상을 요구한 정황이 담긴 녹취록을 공개하자 이를 반박하는 또 다른 녹취록을 맞공개하면서다.

이데일리

연돈볼카츠가맹점주협의회와 전국가맹점주협의회 관계자들이 지난 18일 오후 서울 강남 더본코리아 본사 앞에서 연돈볼카츠 가맹점 피해사례 발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허외 과장 매출 약속” vs “점주 무리한 요구에 셀프 신고”

앞서 연돈볼카츠 일부 가맹점주들로 구성된 연돈볼카츠가맹점주협의회(협의회)는 지난 18일 서울 강남 더본코리아 본사 앞에서 집회를 열고 “2022년 전국 가맹점 모집에 나설 당시 더본코리아 담당자는 계약서 제시 전 월 매출 3000만원을 이야기했고 홈페이지도 일 매출이 338만원으로 적시했다”며 “이후 연돈볼가츠의 인기가 식으면서 매출이 절반 넘게 떨어졌는데 본사는 점주 탓으로 돌리기만 하고 메뉴 개선 등 대책은 나오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허위 과장 매출 약속으로 가맹점을 모집했다’는 얘기로 협의회는 공정위 신고도 예고했다.

이와 관련 더본코리아는 “허위나 과장된 매출, 수익률 등을 약속한 적이 전혀 없다”면서 일부 가맹점주들이 금전적 보상을 요구한 정황이 담긴 녹취록을 공개해 파장이 일었다. 해당 녹취록에는 한 가맹점주가 “예를 들어 5000만 원이든, 6000만 원이든 이런 합의점이 있다면 끝낼 것이고, 저거 쳐주면 돈을 받았다고 소문낼 거고, 1억 원을 주면 조용히 있을 거고, 1억 5000만 원이면 내가 협의회를 없애겠다”는 내용이 담겼다. 이들의 무리한 요구에 더본코리아는 지난 4월 말 공정위에 셀프 신고를 하게 됐다는 설명이었다.

이데일리

연돈볼카츠가맹점주협의회가 20일 공개한 더본코리아 가맹본부 점포개설 담당자의 허위·과장 매출 정보.(자료=연돈볼카츠가맹점주협의회)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녹취록 공개에 녹취록으로 재반박…깊어지는 갈등

이날 협의회의 입장은 더본코리아의 설명에 대한 재반박인 셈이다.

협의회 자료에 따르면 더본코리아 가맹본부 점포개설 담당자 A씨는 가맹점주 B씨에게 “그냥 홀 매출만 한 3000만원에서 3300만원 정도를 하고 있고 보통 영업적으로 설명을 드릴 때는 3000만원으로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수익률 관련해선 “보통 600만원 정도 남는다. 20% 정도”라고, 원가율에 대해선 “실제 원가는 저희가 36% 정도로 보고 있고 물가가 인상을 하니 그것까지 반영해 40%를 잡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협의회는 실제 B씨 매장의 매출은 1590만원 수준, 수익률은 10% 내외, 원부자재 비율은 50%에 이르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협의회는 “가맹본부는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하기보다는 가맹점주의 일탈이라며 사실을 왜곡하며 점주들을 비난하고 있다”며 “후안무치한 행태에 부득이 매출 등과 관련해 2022년 5월 18일 A씨와 B씨 간 대화를 녹음한 허위·과장 녹취록 일부를 공개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더본코리아의 셀프 신고에 대해선 “더본코리아가 지난 4월 29일 공정위에 자진해서 심의를 요청했다고 했는데 이는 5월 7일 더본코리아 요청에 의한 당사자 간 미팅, 경기도 분쟁조정 기구의 당사자 현장대질일인 5월 17일보다 빠른 시점”이라고 꼬집었다. 가맹사업법상 분쟁조정 절차가 종료되기 전 공정위가 조사 또는 시정조치 등 조치에 나설 수 없도록 하고 있는 만큼 협의회는 더본코리아의 이같은 셀프 신고가 “점주들을 악마화하는 프레임 준비”라고 주장했다.

더본코리아가 공개한 녹취록상 금전 요구를 두고는 “더본코리아의 허위·과장된 정보제공 등으로 손해를 본 점주가 사실상 실패한 가맹사업본부에게 배상을 요구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고 설명했다. 협의회는 “해당 녹취록은 상황이 열악한 특정지역 점주들의 요구사항을 더본코리아에 전달하는 과정에서 나온 얘기”라며 “허위·과장된 정보제공으로 발생한 손해액의 일부라도 배상받고 싶은 마음이 그렇게 매도될 일이냐”라고 억울함을 호소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