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전기차 끝판왕 '네오룬'· 캐스퍼 일렉트릭 베일 벗는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현대차그룹 '부산모빌리티쇼' 36개 차종 선봬

초대형 SUV '네오룬' 亞 첫선

기아 '타스만' 위장막 씌워 공개

27일 개막···국산모델 반등 기회

장재훈·송호성 사장 직접 등판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현대차그룹이 국내 최대 자동차 박람회인 ‘2024 부산모빌리티쇼’에 총력을 집중한다. 캐스퍼 일랙트릭 등 신차는 물론 GV90의 콘셉트카로 알려진 초대형 SUV ‘네오룬’도 아시아 처음으로 선보인다. 각 브랜드의 수장들도 부산을 방문해 지원사격에 나설 예정이다. 전기차 캐즘(대중화 직전 일시적 수요 둔화) 등 불안 요소를 품고 있는 현대차그룹이 이번 행사를 통해 전기차 대중화에 불을 지필 수 있을지 주목된다.

20일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장재훈 현대차 사장과 송호성 기아 사장은 이달 27일 개막하는 부산모빌리티쇼에 직접 참여해 힘을 보탤 예정이다. 각 브랜드가 앞세우고 있는 핵심 차량을 직접 소개할 가능성도 있다. 업계 관계자는 “전동화 지체 등으로 위기감을 가지고 있는 현대차그룹이 국제 모빌리티쇼를 통해 반등을 꾀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현대차그룹이 이번 모빌리티쇼에 전시하는 차량은 총 36대에 이른다. 무엇보다 눈에 띄는 것은 제네시스의 대형 전기 SUV(스포츠유틸리티차량) GV90의 콘셉트카로 알려진 ‘네오룬’이다. 현재까지 기아의 EV9, 테슬라 모델X 등 준대형 전기 SUV는 판매된 적이 있지만 대형 SUV 전기차가 출시된 적은 없다. 또 현대차그룹이 개발 중인 2세대 전기차 플랫폼 ‘eM’이 GV90에 처음 탑재된다는 점도 주목 받는 이유 중 하나다. 네오룬을 토대로 GV90의 세부 모습과 사양이 정해지는 만큼 제네시스는 이번 행사를 통해 차량에 대한 반응을 유심히 살필 것으로 보인다. 제네시스는 G80 전동화 부분분경 모델도 국내 최초로 공개했다.

현대차는 그룹의 첫 경형 전기차인 캐스퍼 일렉트릭을 처음으로 선보인다. 전장은 25㎝ 늘리면서 대용량 배터리를 탑재해 1회 충전으로 315㎞ 주행이 가능한 차량이다. 동급인 기아 레이EV(205㎞)보다 110㎞ 더 멀리 달릴 수 있다. 현대차는 아이오닉 5N과 N 비전 74 등 고성능 차량과 아이오닉5, 아이오닉6, 코나 EV, 엑시언트 FCEV, ST1 등 친환경차도 대거 선보인다. 다만 기대를 모았던 아이오닉9(가칭)은 전시 명단에서 빠졌다.

기아는 내년 글로벌 출시 예정인 브랜드 최초의 픽업트럭 ‘더 기아 타스만’의 전용 위장막 모델을 처음 선보인다. 타스만은 기아의 인기모델인 모하비의 바디 온 프레임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픽업트럭으로 제작한 차량이다. 기아는 또 EV3·EV6·EV9 등 전기차를 비롯해 PV5 등 5대의 목적기반모빌리티(PBV)와 쏘렌토·카니발의 하이브리드 모델도 내놓는다.

현대차그룹이 이번 모빌리티쇼에 힘을 쏟는 이유는 최근 국내 전기차 점유율이 꺾이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에 따르면 올해 1~5월 국내에서 등록된 국산 전기승용차 등록대수는 2만 2291대로 지난해 동기 대비 27.9% 급감했다. 반면 수입 전기승용차의 등록대수는 같은 기간 112.7% 상승하며 전체 전기승용차의 46% 가량을 차지했다. 테슬라 모델3과 모델Y의 판매량이 급등한 것이 주요하게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현대차그룹이 행사에 힘을 주고 있는 만큼 부산모빌리티쇼도 과거의 명성을 되찾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2001년 시작된 부산모빌리티쇼는 2012년 100만 명 이상의 관람객을 사로잡았지만 지난해에는 불과 48만 명만 방문하면서 힘이 빠졌다는 평가를 받았다. 올해에도 현대차그룹 3개 브랜드(현대차·기아·제네시스)와 르노코리아, BMW, MINI, 어울림모터스 7개 브랜드만 참여할 예정이다. 메르세데스-벤츠와 국내 완성차 업체인 KG모빌리티, 한국GM 등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불참했다.

이건율 기자 yul@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