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美증시 새 역사 쓴 엔비디아, MS 제치고 시총 1위 등극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휴스턴=뉴스핌] 고인원 특파원= 인공지능(AI) 열풍을 이끄는 미국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가 18일(현지시간) 뉴욕증시 장중 사상 처음으로 시가총액 기준 1위를 달성했다. 세계 1위 기업 마이크로소프트(MS)도 넘어섰다.

이달 초 처음으로 시총 3조 달러를 넘어서며 시총 2위 애플을 일시 젖혔던 엔비디아는 시총이 이날 3조 3350억 달러를 기록하며 시총 1위 기업으로 등극했다. 주가도 장중 136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뉴스핌

COMPUTEX 행사서 연설 중인 젠슨 황 엔비디아 CEO [사진=로이터 뉴스핌] 2024.06.03 kwonjiun@newspim.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반면 이날 MS의 주가는 장중 일시 0.5%까지 낙폭을 확대하며 시총이 2위(3조 3100억 달러)로 순위가 밀렸다. 애플은 3위(3조 2700억달러)로 떨어졌다.

엔비디아의 가파른 주가 상승은 미 증시에서도 전례를 찾기 힘든 수준이다. 지난해 6월 처음으로 시총 1조 달러를 돌파한 이후 불과 10개월 만인 올해 2월 2조 달러를 넘어섰다. 시총 2조 달러가 넘는 기업 가운데 최단기간으로 꼽힌다. 이어 불과 4개월여 만에 지난 6일 3조 달러를 넘어선 데 이어 2주 만에 1위 자리를 꿰찼다.

역대 시총 3조 달러를 돌파한 기업은 애플과 MS에 이어 엔비디아가 세 번째다.

전문가들은 가파른 주가 상승을 뒷받침하는 탄탄한 실적, 지난 1분기 실적 발표 당시 10대 1 주식분할 결정, 재빠른 신제품 출시 주기 등이 랠리를 뒷받침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지난달 22일 엔비디아는 1분기 실적을 발표하고 주식분할 계획을 밝혔다. 액면가를 10분의 1로 하는 대신 주식 수를 10배로 한다는 내용이다. 주식분할은 한 주당 거래 가격을 낮춰 소액 투자자들의 접근성을 높임으로써 거래를 활성화해 주가를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다.

최근 막대한 투자가 이뤄지고 있는 데이터센터용 AI 칩 시장에서의 독보적 입지도 주가 상승을 뒷받침한다. AI모델 학습과 추론에 필수적인 데이터센터용 AI 칩 시장에서 엔비디아의 시장 점유율은 80%로 독점에 가까운 수준이다. 아마존, 테슬라, MS 등 빅테크 기업들이 속속 AI 칩 개발 경쟁에 뛰어들었지만, 성능 면에서 엔비디아의 AI 칩을 추월하는 제품을 조만간 내놓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 속에 엔비디아의 독주가 이어지고 있다.

실제로 지난 1분기 회사의 핵심 사업인 데이터 부문 매출은 226억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무려 427% 증가하며 회사 전체 매출의 86%를 차지했다. 당분간 AI 칩 수요에 비해 공급이 달릴 것이라는 전망 속에 2분기 매출 전망도 280억달러로 월가 전망(266억달러)를 가뿐히 뛰어넘으며 당분간 가파른 성장세가 이어질 것을 시사했다.

여기에 더해 지난 2일 새 AI 가속기를 공개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당시 대만을 방문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차세대 AI 전용칩인 '블랙웰'이 양산되기도 전에 차차세대 AI 전용칩 '루빈'을 발표하는 등 AI칩 시장의 지배력 강화를 위한 행보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엔비디아의 시총이 오는 2030년에는 10조 달러를 돌파할 것이라는 장밋빛 전망도 나오고 있다. I/O펀드의 베스 킨디그 수석기술애널리스트는 지난달 28일 미국 CNBC와의 인터뷰에서 "엔비디아 주가는 2030년까지 258% 더 올라 10조 달러에 도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엔비디아의 차세대 블랙웰 GPU가 소프트웨어 플랫폼 및 자동차 시장에 널리 쓰일 것"이라며 "또 다른 엄청난 성장을 주도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엔비디아의 주가가 워낙 가파른 상승 흐름을 보인 탓에 이날 시총 1위를 달성했지만, 미국의 주요 업종을 대표하는 우량주 30개 종목으로 구성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다우지수)에는 아직 편입되지 않은 상태다. 일부 전문가들은 엔비디아의 높아진 시가총액과 시장에 미치는 막대한 영향력으로 인해 다우지수에 편입될 가능성을 점치고 있다.

다우지수에 편입되면 지수를 추종하는 패시브 자금이 유입되는 효과까지 더해지며 주가 추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어 투자자들은 다우 편입 가능성에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koinwon@newspim.com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