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韓·中 “한반도 위협 고조 경계” 의견 교환 [북·러 정상회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에서 차관급 외교안보대화 열려

韓·中·日 국제포럼서도 협력 의지 다져

왕이 “亞서 가장 영향력 있는 다자협력”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북한을 방문한 18일 한·중 외교부와 국방부는 서울에서 외교안보대화를 개최했다. 이날 오후부터 만찬까지 이어진 회의에서 양국 외교·국방 당국자들은 한·중 관계와 한반도 문제를 비롯해 북·러 협력으로 인한 역내 위협 고조 등에 의견을 교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에서 열린 한·중 외교안보대화에 한국은 김홍균 제1차관(수석대표), 이승범 국방부 국제정책관이 참석했고, 중국은 쑨웨이둥 외교부 부부장(수석대표), 장바오췬 중앙군사위 국제군사협력판공실 부주임이 참석했다.

세계일보

김홍균 외교부 1차관이 18일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에서 열린 한·중 외교안보대화에 앞서 쑨웨이둥 중국 외교부 부부장의 자리를 안내하고 있다. 왼쪽부터 장바오췬 중국 중앙 군사위 국제군사협력판공실 부주임, 쑨 부부장, 김 외교부 1차관, 이승범 국방부 국제정책관.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는 북·러 정상회담과 겹친 이번 회의 일정, 북한과 러시아 간 맺을 것으로 예상되는 ‘포괄적 전략동반자 관계’ 등에 대해 큰 의미를 부여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외교부 당국자는 “한·일·중 정상회의를 계기로 양국 간 외교·안보 분야 소통 채널을 본격 가동하기로 함에 따라 개최되는 대화”라고 일축했다. 이 당국자는 러·북 협력 의제나 동향이 회담에서 자연스럽게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는 보았으나 푸틴 대통령의 방북으로 인해 회담 의제가 바뀌었다고 듣지는 못했다고 전했다.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북·러와 한·중 모두 각자 필요나 수석대표 일정에 따라 회담 일자를 조율한 것으로 보는 것이 적절하며, 제3국과의 관계까지 염두에 두고 정하지는 않는다는 설명이다. 개최 일자보다는 한·중 외교안보대화가 차관급으로 격상해서 열리는 것에 방점이 찍히며, 이는 양국 공동의 의지가 있었기에 가능하다는 평가다.

북·러가 포괄적 전략동반자 관계가 된다는 것에 관해서는 그간 러시아가 여러 나라와 맺어온 관계 명칭을 고려할 때 한·러 관계 대비 격상됐다고 보기엔 무리가 있다고 정부는 보고 있다.

중국 외교부도 이번 대화에서 상호 관심사가 논의 대상이라고 설명하고, 시기가 북·러 정상의 만남과는 관련이 없다고 밝혔다. 지역 정세보다는 한·중 관계 개선에 무게를 실었다.

린젠(林劍)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전날 정례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에 “중국이 한국과 2+2 대화 메커니즘을 수립한 뒤 대화의 급을 높인 것과 대화 개최 시기를 협상한 것은 양자 관계 발전의 필요에 주목한 것으로, 일찍이 결정된 것이지 다른 국가와는 특별한 관련이 없다”고 답했다.

한편 이날 한·중·일 3국 협력사무국(TCS)이 주최한 ‘2024 한·중·일 3국 협력 국제포럼’에서 세 나라의 외교 당국자들이 모여 협력 의지를 다지기도 했다.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서면 축사에서 “오늘날의 엄중한 지역정세와 글로벌 복합위기 하에서도 수천 년의 세월을 함께해 온 이웃이자 세계 인구의 5분의 1, 세계 총생산의 4분의 1을 차지하는 글로벌 강국인 세 나라 간 협력은 더욱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왕이 중국 공산당 중앙외사판공실 주임 겸 외교부장은 서면 축사에서 “지난 25년간 3국 협력은 아시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다자협력 메커니즘 중 하나로 발전해 3국 국민에게 혜택을 주고 지역 및 글로벌 평화·번영을 촉진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해왔다”고 평가했다. 가미카와 요코 일본 외무상도 “세계가 역사 전환기를 맞이하고 있는 만큼, 앞으로 3국이 더욱 협력할 수 있는 잠재력이 크다”고 말했다.

정지혜 기자, 베이징=이우중 특파원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