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라인야후 “네이버와 일본 내 서비스 위탁 종료할 것”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라인야후가 입주해 있는 일본 도쿄 지요다구의 도쿄가든테라스기오이타워에 사람들이 들어가고 있다. 걸어가는 사람 앞으로 ‘라인야후’라고 적혀 있다. 도쿄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대규모 정보 유출 문제로 일본 정부로부터 네이버와 자본 관계를 재검토하라는 행정지도를 받은 라인 애플리케이션 운영사인 라인야후가 ‘탈네이버’ 방침을 재확인하며 네이버와 관계 단절을 가속하고 있다.

18일 이데자와 다케시 라인야후 최고경영자(CEO)는 도쿄에서 열린 주주총회에서 보안 대책 강화와 관련해 “서비스 사업 영역에서 거의 모든 (일본) 국내용 서비스 사업 영역에서 네이버와 위탁 관계를 종료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일본 포털사이트 야후 재팬 웹사이트 검색개발 인증에서 위탁 협력을 종료하는 것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그는 보안 대책 강화 방안과 관련한 구체적인 계획은 7월에 공표하겠다고 덧붙였다.

라인야후 측은 “네이버에 맡긴 업무의 본질을 재검토하고 있다”며 “자본 관계 변경과 관련해선 결정할 수 있는 입장이 아니지만, 모회사(소프트뱅크) 등에 검토 요청을 실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데자와 CEO는 관심을 끌었던 네이버와 자본 관계 재검토 문제에 대해서는 “현시점에서 결정한 사실은 없다”면서 주총에서 언급하지 않았다. 다만 “자본 관계의 재검토를 포함, 공표해야 할 사실이 발생하면 신속하게 공표하겠다”고 말했다.

이러한 답변은 라인야후 측이 네이버와 업무위탁 종료 방침을 재확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라인야후는 네이버와 일본 소프트뱅크의 합작사다.
서울신문

‘라인야후 사태’ 직원설명회 앞둔 라인플러스 - 일본 정부의 행정지도로 촉발된 ‘라인야후 사태’에 대한 사회적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지난달 14일 경기도 성남에 위치한 라인야후 계열 한국법인 라인플러스 본사에서 직원이 걸어가고 있다. 라인플러스는 이날 직원 대상 설명회를 열 예정이다. 2024.5.14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라인야후는 이날 주총에서 ‘라인의 아버지’로 통했던 신중호 최고제품책임자(CPO)를 이사회에서 제외했다. 이로써 새 이사회 멤버가 모두 일본인으로 채워져 ‘네이버 지우기’가 현실화됐다.

라인야후 사측은 주총에 신 CPO를 제외하는 등 이사회를 7명에서 6명으로 재편하는 안건을 상정해 통과시켰다. 신 CPO는 라인야후 이사회에서 유일한 한국인 멤버이자 사실상 네이버를 대표해 왔다.

신 CPO는 지난달 라인플러스 설명회에서 자신이 라인야후 이사회에서 제외된 배경과 관련해 일본 총무성 행정지도를 언급하고 보안 문제에 자신도 책임이 있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라인야후는 지난해 11월 “라인 이용자와 거래처, 종업원 등 개인 정보 44만건이 유출됐을 가능성이 있다”며 “관계 회사인 한국 네이버 클라우드를 통해서 제3자의 부정한 접근이 있었다”고 밝혔다.

라인야후는 당시 라인야후 전산시스템을 담당하고 있는 네이버 클라우드의 협력사 직원 PC가 악성코드에 감염된 것을 계기로 라인야후에서도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이후 조사에서 추가로 개인 정보 7만 9000건이 유출됐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피해 규모는 총 51만여건으로 늘어났다.

일본 총무성은 지난 3∼4월 라인야후에 사이버 보안 강화를 요구하는 두 차례 행정지도를 실시하며 7월 1일까지 구체적인 대응책을 제시하도록 요구했다. 특히 행정지도 내용에 ‘자본관계 재검토 요구’가 포함돼 일본이 네이버로부터 라인야후 경영권을 빼앗으려는 것이 아니냐는 논란이 제기됐다.

하승연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