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SNS도 술·담배처럼 유해성 표시해야" 미 보건 최고책임자의 경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 공중보건 최고 책임자가 틱톡·페이스북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가 청소년 정신건강에 심각한 해를 끼친다며 술이나 담배처럼 경고문을 표시해야 한다는 입장을 내놨다.

비벡 머시 미국 공중보건서비스단(PHSCC) 단장 겸 연방 의무총감은 17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 기고문을 통해 "SNS가 청소년의 정신 건강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친다는 내용의 경고문을 SNS 앱에 표시하도록 의무화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이용자가 SNS 유해성에 대한 인식을 갖고 행동의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다는 주장이다.

그는 "현재 미국 젊은이들의 정신건강은 응급 상황 수준"이라며 "과도한 SNS 사용이 불러온 결과"라고 지적했다. 하루에 3시간 이상 SNS를 이용하는 청소년은 불안과 우울함을 겪을 위험이 두 배나 높은데 지난해 미국 청소년의 하루 평균 SNS 사용 시간은 5시간에 육박한다는 설명이다. 미국 청소년 중 거의 절반이 SNS로 인해 자신의 신체에 불만을 갖는다는 것도 문제점으로 꼽았다.

머시 의무총감은 "내가 의과대학에서 배운 가장 중요한 교훈 중 하나는 응급 상황에선 완벽한 정보를 기다리기보다 이용 가능한 사실을 평가해 최선의 판단을 내려 신속히 행동해야 한다는 것"이라며 의회가 즉각 입법 절차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아울러 부모는 취침·식사·모임 시간 자녀의 휴대폰 이용을 제한해 적당한 수면 시간을 확보해 주는 한편 일상 생활에서 인간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녀의 SNS 접근은 중학교 졸업 이후에 허용하는 게 좋다는 조언도 더했다.

머시 의무총감은 "20세기 중후반 자동차 사고 사망자가 급증하자 안전벨트·에어백 등 다양한 장치가 추가되면서 자동차는 점점 더 안전해졌다"면서 "SNS로 인한 피해가 자동차, 비행기, 식품 등으로 인한 피해보다 적다고 할 수 없다"고 거듭 강조했다.

SNS의 유해성에 대한 인식이 커지면서 미국 곳곳에선 청소년을 보호하기 위한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다. 미국 플로리다주가 14세 미만 미성년자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계정 보유를 전면 금지하는 법을 채택, 내년 1월 시행을 예고했다. 최근 뉴욕주 의회는 SNS 플랫폼이 18세 미만 청소년을 대상으로 중독성 있는 콘텐츠 추천 알고리즘 사용을 금지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의무총감은 다양한 공중보건 이슈에 목소리를 내며 사회적 논의를 촉발하는 역할을 해왔다. 1960년대 흡연의 해로움을 전파하고 1980년대 에이즈를 도덕적 타락의 결과가 아닌 치료해야 할 질병으로 알린 게 대표적이다. 머시 의무총감은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SNS의 위험성을 경고하고 있다.

윤세미 기자 spring3@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