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저가 쓰나미’ 자승자박이었나…중국 태양광 산업도 고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국 산업 외연 넓히는 데 성공했지만

가격 폭락에 매출 급감하며 고전

중국 보조금도 예전만 못하다는 평가도

미국·유럽은 저가 쓰나미에 관세로 맞불

시진핑, 태양광 등 과잉투자 비적절 발언도

중국산 저가 쓰나미에 전 세계가 몸살을 앓고 있는 가운데 중국 현지 업계 업황도 그리 밝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가격이 기록적인 수준으로 떨어진 태양광 산업이 대표적이다.

아시아경제

17일(현지시간) 영국 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중국의 거대 태양광 산업이 과잉 생산으로 가격 및 이익이 급락하며 위기에 빠졌다”고 보도했다.

중국 태양광 산업은 폴리실리콘 등 원재료부터 모듈 등 완제품에 이르는 모든 공급망 단계에서 지배적인 위치에 등극했다. 컨설팅업체 우드맥킨지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태양광 모듈 생산 능력은 약 1000기가와트(GW)로 이는 전 세계 나머지 지역 생산 능력을 합친 것의 약 5배 달하는 규모다. 2026년에는 용량이 약 1700GW로 확장될 것으로 예측됐다. 시장조사업체 PV인사이트에 따르면 태양광 모듈 가격은 최근 와트당 10센트 미만으로 사상 최저로 떨어졌다. 중국이 태양광 제품을 과잉 생산한 후 값싸게 해외에 내다 판 결과다.

이는 미국·유럽 등 주요국 태양광 업계의 침체 일로로 이어졌지만, 중국 업계도 ‘치킨 게임’에서 자유롭지는 못했던 것으로 파악됐다. 이코노미스트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태양광 업계의 급증한 수출에도 관련 매출은 전년 대비 5.6% 줄었다. 지난 3월 정원의 약 5%를 감축한 중국 론지의 주가는 올 들어 25% 빠졌다. 트리나 솔라(27%), JA솔라(31%), 진코솔라(32%) 등 다른 중국 태양광 업체 주가도 큰 폭으로 떨어졌다. 중국 중소 업체 타격은 더 컸을 것으로 보인다. 일례로 링다는 최근 13억달러 규모의 셀 공장 건설 계획을 취소했다.

중국 업계가 고전에도 버텨올 수 있었던 배경에는 국가 보조금이 자리했다. 이코노미스트는 “중국 지방 정부들은 수십 년간 토지와 전기를 무상으로 지원해오고 무이자 대출 등 다양한 형태로 태양광 업계를 도왔다”며 “이는 태양광 기업 비용의 약 35%에 달하지만, 경우에 따라 65%까지 높아지기도 한다”고 했다.

문제는 최근 들어 지원이 예전만 못하다는 징후가 나오고 있다고 이코노미스트는 덧붙였다. 현재 중국 많은 지방에서 부채가 포화 상태에 이르렀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한정된 보조금을 놓고 전기차, 리튬 배터리 등 다른 친환경 산업 분야와 경쟁해야 하는 구조가 펼쳐지고 있다.

심지어 미국, 유럽 등 선진국은 중국산 저가 공세에 관세로 대응 중이다. 유럽연합(EU)은 지난 12일 중국 전기차에 최대 48%의 잠정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한 가운데 태양광에도 반덤핑 조사를 벌이고 있는 만큼 비슷한 조처가 나올 가능성이 있다. 미국은 지난달 태양광을 비롯한 중국 수입품에 180억달러 상당의 관세 인상안을 발표한 바 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지난달 23일 기업 임원 및 경제학자들과의 면담에서 “전기차, 배터리, 태양광에만 자원을 집중하지 말라”고 주문하기도 했다. 중국의 최근 경제 성장을 견인했던 친환경 첨단산업에 대한 과잉 투자가 비효율적이라는 취지의 발언이다. 이는 시 주석이 중국의 과잉 생산에 대한 서방 압박을 염두에 두고 한 발언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왔다.

이코노미스트는 “이 모든 것은 중국 태양광 산업에 위기가 다가오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며 “중국 태양광 산업이 험난한 여정을 준비해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변선진 기자 sj@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