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푸틴 “北과 쌍무적 협조 높은 수준으로”…관계 격상 시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푸틴, 방북 전 北 노동신문에 기고글

“北 우크라 작전 지지 높이 평가…유엔서 공동노선”

“美, 이전 합의 거부하고 받을 수 없는 새 요구 제기”

“비합법적 제한 조치 공동 반대”…제재 무력화 시사

헤럴드경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오른쪽)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해 9월 13일 러시아 아무르 지역 블라고베셴스크시에서 약 200km(125마일) 떨어진 치올코브스키 시 외곽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악수하고 있다. [AP]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최은지 기자]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18~19일 방북을 앞두고 “우리는 공동의 노력으로 쌍무적 협조를 더욱 높은 수준으로 올려세우게 될 것”이라며 이번 북러 정상회담에서 관계 격상 문제를 논의하게 될 것을 시사했다.

18일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러시아와 공화국:연대를 이어가는 친선과 협조의 전통’이라는 제목의 푸틴 대통령의 기고문을 1면에 공개했다. 17일 크렘린궁은 푸틴 대통령의 방북 계기로 북한과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 협정을 준비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푸틴 대통령은 “오늘날 러시아와 북한은 다방면적인 동반자 관계를 적극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는 북한이 우크라이나에서 진행되고 있는 러시아의 특수군사작전을 굳건히 지지하고 주요 국제 문제들에 대하여 우리와 연대성을 표시하며 유엔무대에서 공동노선과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데 대하여 높이 평가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평양은 어제도 오늘도 우리의 믿음직한 동지, 지지자로서 정의와 자주권에 대한 호상존중, 서로의 이익에 대한 고려를 기초로 하는 다극화된 세계질서를 수립하는데 저애를 주려는 ‘서방집단’의 욕구를 견결히 반대해 나설 용의가 있다”고 했다.

푸틴 대통령은 미국이 ‘규정에 기초한 질서’를 강요하고, 이에 응하지 않는 나라들이 혹독한 대외적 압력에 부딪히고 있다며 “미국 지도부는 자주와 독립에 대한 이런 응당하고 합법적인 지향을 저들의 세계패권에 대한 위협으로 보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한편 우리의 적들은 반대로 신나치스끼예브당국에 돈과 무기, 정찰자료들을 계속 대주고 있으며 러시아 영토를 타격하는데 서방의 현대적 무기와 기술장비들을 이용하도록 허용해주고 사실상 추동하고 있다”며 “게다가 계속 새로운 제재들로 우리 경제의 맥을 뽑고 국내에서 사회정치적인 긴장 격화를 부추기려고 책동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들이 아무리 무진 애를 쓴다고 해도 러시아를 억제하고 고립시키려는 그들의 모든 시도들은 파탄됐다”며 “우리는 확신성있게 자기의 경제적 잠재력을 계속 증대시키고 있으며 공업과 기술, 하부구조, 과학, 교육, 문화를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고 했다.

압박받는 국제정세 하에서 북한과 러시아가 처한 상황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지도력을 평가했다.

푸틴 대통령은 “우리는 조선의 벗들이 수십년간 계속되는 미국의 경제적 압력과 도발, 공갈과 군사적위협에도 불구하고 매우 효과적으로 자기의 이익을 고수해 나가고 있는데 대하여 기쁘게 생각한다”며 “우리는 공화국 인민들이 어떤 힘과 존엄, 용감성을 지니고 자기의 자유와 자주권, 민족적 전통들을 지켜 싸우는가를 보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조선 인민은 나라의 국방력과 과학기술, 공업의 위력을 강화하기 위한 사업에서 거대한 성과들을 거두고 있으며 훌륭한 전진을 이룩해 나가고 있다”며 “이와 함께 김정은 동지를 수반으로 하는 국가지도부는 모든 의견상이들을 평화적으로 해결하려는 지향을 여러번 발표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워싱턴은 이전에 이룩된 합의 이행을 거부하고 더욱 혹독하고 절대로 받아들일 수 없는 새로운 요구들을 계속 제기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푸틴 대통령은 “러시아는 어제도 내일도 교활하고 위험하며 침략적인 원수와의 대결에서, 자주와 독창성, 발전의 길을 자체로 선택하려는 권리를 지키는 투쟁에서 북한과 영웅적인 조선 인민을 지지하였으며 앞으로도 변함없이 지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북러 간 밀접한 관계를 이어가면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제재에 대한 공동 대응 방침을 시사했다.

푸틴 대통령은 “우리는 국제관계를 더욱 민주주의적이고 안정적인 관계로 만들기 위하여 밀접하게 협조할 용의가 있다”며 “이를 위하여 우리는 서방의 통제를 받지 않는 무역 및 호상결제체계를 발전시키고 일방적인 비합법적 제한 조치들을 공동으로 반대해 나갈 것”이라며 “이와 함께 유라시아에서 평등하고 불가분리적인 안전구조를 건설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인도주의적 협조 ▷교육기관 활동 활성화 ▷관광 ▷문화 및 교육 ▷청년 ▷체육교류 발전을 언급하며 이번 정상회담에서 논의될 의제에 대해 언급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공동의 노력으로 쌍무적 협조를 더욱 높은 수준으로 올려세우게 될 것이며 이것은 북러 사이 호혜적이고 동등한 협조를 발전시키고 우리의 자주권을 강화하며 경제무역관계를 심화시키고 인도주의 분야에서의 연계를 발전시키며 결과적으로는 두 국가 공민들의 복리를 향상시키기 위한 사업에 이바지하게 될 것이라는 것을 굳게 확신한다”고 덧붙였다.

silverpaper@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