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뉴스 '사실'이라 믿는 한국인은 10명 중 3명에 불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디지털 뉴스 보고서, 韓 언론 신뢰도 31%로 집계

47개 국가 신뢰도 평균보다↓…이선균 사건 등 언급

뉴시스

[서울=뉴시스] ??17일(현지시각)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부설 로이터저널리즘연구소가 발간한 '디지털 뉴스 보고서 2024'에 따르면 대한민국 국민들의 언론 신뢰도는 31%로 나타났다. (사진=디지털 뉴스 보고서 2024 캡쳐) 2024.06.17.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시스] 박광온 기자 = 대한민국 언론이 보도하는 내용을 '사실'이라고 믿는 한국인은 10명 중 3명에 불과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17일(현지시각)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부설 로이터저널리즘연구소가 발간한 '디지털 뉴스 보고서 2024'에 따르면 대한민국 국민들의 언론 신뢰도는 31%로 나타났다.

지난 2016년(22%)과 비교하면 약 1.4배 증가했으나 조사대상 47개 국가 및 지역의 신뢰도 평균(40%)보다는 9%p 낮은 수치다. 언론 신뢰도가 가장 높은 국가인 핀란드(69%)와 비교와 비교하면 38%p나 차이 난다.

매체별 신뢰도 집계 결과를 보면 사람들은 MBC(57%), YTN(56%), JTBC(55%), SBS(54%), KBS(51%) 등 방송매체를 상대적으로 더 신뢰하는 경향이 있었다.

반면 한겨례(39%), 동아일보(38%), 중앙일보(37%), 조선일보(34%) 등 신문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신뢰도를 보였다.

또 보고서는 뉴스 플랫폼의 경우 전통적 플랫폼인 TV와 신문 등 기성 매체 이용률은 꾸준히 감소한 반면 유튜브·인스타그램 등 소셜미디어 이용률은 크게 증가한 추세를 보인다고 강조했다.

실제 뉴스 플랫폼으로서 소셜미디어 이용률은 2016년 32%에서 올해 44%로 약 1.3배 늘었다. 같은 기간 TV는 71%에서 62%로, 인쇄물은 28%에서 16%로 줄었다.

보고서는 뉴스 이용률이 감소하는 등 언론에 대한 대중의 무관심이 커지는 상황에, 상대적으로 검증되지 않은 정보를 전달하기 쉬운 소셜미디어 이용률이 크게 늘어난 점이 언론 신뢰도를 낮춘 데 영향을 줬다고 분석했다.

특히 "미디어의 초점이 온라인 플랫폼으로 전환된 이후 많은 사람들은 질이 낮고 선정적인 뉴스가 급속하게 유통됐다고 말한다"고 지적했다.

마약 투약 혐의로 수사받다가 숨진 배우 이선균씨 사건도 언급됐다. "지난해 12월 스스로 목숨을 끊은 영화배우에 대한 선정적인 보도로 한국 언론은 비난을 받았다"라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마약 투약 혐의로 조사를 받고 있던 배우는 사생활의 세부 사항까지 수개월 동안 언론의 집중적인 주목을 받았다"며 "마약 수사와 직접적으로 관련되지 않은 대화가 무분별하게 공개됐고, 대중의 관심을 끌기 위한 미디어의 초점은 온라인 플랫폼으로 전환한 이후 더욱 강화됐다"고 짚었다.

이어 "매주 뉴스 샘플의 51%가 사용되는 유튜브와 같은 플랫폼에서 소셜 미디어 사용이 증가하면서 검증되지 않은 유명인의 사생활에 대한 의심과 주장이 더욱 확산됐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조사는 로이터저널리즘연구소가 여론조사기관 유고브(YouGov)와 함께 지난 1~2월 세계 47개 국가 및 지역에서 온라인을 통해 성인 9만4943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공감언론 뉴시스 lighton@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