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슈 하마스·이스라엘 무력충돌

21세기 전쟁에 투석기 쓴 이스라엘…헤즈볼라와 전면전 할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최근 이스라엘과 레바논 무장 정파 헤즈볼라 간 무력 충돌이 격화하며 전면전으로 확대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하마스의 휴전 협상에 진전이 없는 가운데, 헤즈볼라와의 갈등까지 심화하며 역내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중앙일보

지난 15일(현지시간) 이스라엘군의 공습을 받은 레바논 남부의 한 마을이 불타고 있다. AFP=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 14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이스라엘군은 투석기와 유사한 장비를 동원해 다수의 불이 붙은 물체를 레바논 남부 헤즈볼라 근거지에 투척했다. 이에 대해 이스라엘군은 "헤즈볼라 전투원들이 은폐물로 쓰는 가시덤불을 태워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양 측의 교전은 11일 이스라엘 측의 공습으로 헤즈볼라의 고위 사령관 탈렙 압둘라가 사망하면서 격렬해졌다. 헤즈볼라는 12일부터 이틀 연속 이스라엘 북부의 군 시설 등을 겨냥해 로켓을 수백 발 쏘고 공격용 드론을 보내는 등 보복을 가했다. 지난해 10월 헤즈볼라와 이스라엘 간 충돌이 시작된 이후 최대 규모의 공격이었다.

친(親)이란 세력인 헤즈볼라는 지난해 가자지구 전쟁이 발발하자 하마스와 팔레스타인을 지원한다는 명분으로 국경을 접한 이스라엘 북부 지역을 공격하기 시작했다. 그런데도 지금껏 전면전으로 비화하지 않은 데엔 '이스라엘은 레바논 민간인을 공격하지 않고 헤즈볼라는 이스라엘 영토를 향해 발사하지 않는다'는 암묵적 '교전 규칙'(1993년 구두 합의)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 양측 갈등이 격해지며 언제든 전면전으로 치달을 수 있다는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중앙일보

지난 12일(현지시간) 레바논에서 이스라엘군의 공습으로 사망한 헤즈볼라 고위 사령관 탈렙 압둘라의 장례식이 열렸다. AP=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스라엘은 현재 북부에서 주민 6만여 명을 대피시키고 군인 10만여 명을 배치한 상황이다. 수만 명 이상의 이스라엘 주민이 분쟁 때문에 집을 떠난 건 역사상 처음 있는 일이라고 미국 싱크탱크 워싱턴DC 아랍센터는 지적했다.



헤즈볼라와의 전면전, 엄청난 피해 부를 것



최근 양측 간 전투가 격화한 배경엔 이스라엘군이 가자지구에서 '하마스 섬멸'이란 목표를 이루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워싱턴DC 아랍센터는 "이스라엘은 수십 년 간 압도적인 무력을 행사해 국경을 방어해왔지만, 가자지구 전쟁이 끝나지 않으며 이런 방식이 위기를 맞았다"고 설명했다.

하마스를 세게 때리면 북부의 헤즈볼라도 주춤하는 식이었지만, 가자지구에서 전쟁이 계속되며 헤즈볼라 역시 도발을 멈추지 않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스라엘 입장에선 '억지력 확립'을 위해 헤즈볼라 또한 강대강으로 대응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란 분석이다. 뉴욕타임스(NYT)는 "많은 이스라엘 당국자들이 헤즈볼라와의 전면전이 시간 문제라고 보고 있다"고 전했다.

중앙일보

지난 14일(현지시간) 이스라엘 북부, 레바논과의 국경 지대에 배치된 이스라엘군의 모습. 로이터=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양 측의 충돌이 전면전으로 확대될 경우, 이스라엘이란 '외부의 적'을 이용해 레바논에서 권력을 다져온 헤즈볼라도 이 싸움을 피할 수 없다. 이로 인해 "레바논 역사상 가장 위험한 시기가 닥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병력과 화력 면에서 헤즈볼라는 하마스보다 훨씬 강력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때문에 전면전 땐 이스라엘군이 입을 피해도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NYT는 "헤즈볼라는 하마스는 물론 예멘의 후티 반군, 이라크와 시리아의 시아파 민병대 등 소위 이란이 지원하는 '저항의 축'의 핵심"이라며 "전쟁의 피해는 (가자지구 전쟁과는) 비교할 수 없이 클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결국 하마스와의 휴전만이 헤즈볼라도 잠재울 수 있는 방법이지만, 이스라엘 극우 세력은 정부에 레바논 침공을 부추기고 있다"고 우려했다.



美, 이-헤즈볼라 전면전 막으려 안간힘



중앙일보

지난 15일(현지시간) 이스라엘 텔아비브에서 인질 협상을 촉구하는 시위가 벌여졌다. EPA=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초조한 건 조 바이든 미국 정부다. 미국은 지난달 하마스에 새로운 '3단계 휴전안'을 제시했지만, 하마스 측이 정전(영구 휴전)을 전제로 해야 한다는 기존 입장을 굽히지 않아 난항을 맞았다. 이런 와중에 자칫 이스라엘이 또다른 전면전을 일으키면 중동 상황은 손 쓸 수 없을 지경에 이를 수 있다는 것이 미 정부의 분석이다.

미 인터넷매체 악시오스는 "헤즈볼라와 전면전이 일어난다면, 이란은 물론 시리아, 이라크까지 개입해 미국은 이 분쟁에 더 깊이 끌려들어 가게 될 것"이라며 "바이든 정부는 레바논에서의 분쟁을 확대하지 말라고 이스라엘에 경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바이든 정부는 오는 17일 아모스 호치스타인 미 백악관 중동문제 보좌관을 이스라엘에 특사로 보낼 예정이다. 악시오스는 "호치스타인 보좌관은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요아브 갈란트 국방장관을 만나 헤즈볼라와의 긴장 완화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라며 "레바논을 방문해 당국자들과 만날 가능성도 있다"고 전했다.

임주리 기자 ohmaju@joongang.co.kr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