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5 (화)

'외교부 땅' 동의없이 신통기획 신청한 한남 1구역, 향방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남1구역 추진위 "보완요청 사항 보강해 이달 중 최종 제출"

아주경제

한남 재정비촉진구역 위치도 [사진=서울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뉴타운으로 지정됐다가 구역 해제 이후 서울시 신속통합기획 재개발로 선회한 서울 용산구 한남1구역이 외교부 부지 문제가 얽히며 사업 지연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인근 한남 4·5구역이 시공사 선정에 시동을 거는 등 한남뉴타운 개발에 속도가 붙는 가운데 한남1구역은 정비사업 첫 발조차 떼지 못한 상황이다.

16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한남1구역은 현재 구역 내 외교부 소유 부지에 대해 정비사업 동의를 얻는 문제로 신통기획 추진에 제동이 걸렸다. 한남1구역 부지 내 외교부 땅은 용산구 이태원동 83-1 등 총 4개 필지로, 총 4075㎡ 규모다. 한남1구역 전체 사업구역의 10분의1 수준에 해당한다.

서울시 관계자는 "구역 내 외교부 땅이 상당한 면적을 차지하는 데도 토지소유주인 외교부 동의 여부에 대해 알아보지 않은 채 구역 신청을 했다"며 "한남 1구역이 신통기획 후보지로 오르려면 외교부와 협의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서울시에 따르면 신통기획 공모 신청 시 정부부처 등 국유부지 땅이 있을 경우에는 필지별로 찬반 여부를 표기하도록 돼있다. 앞서 한남1구역은 주민 동의율 약 76%를 충족해 올 3월 서울시 신통기획 수시공모를 신청했으나, 보완사항이 필요하다는 서울시 판단으로 신통기획 선정위원회 상정 자체가 보류된 바 있다.

한남1구역 재개발 추진준비위원회 측은 서울시 보완요청 사항을 구청 및 서울시와 지속적으로 논의 후 반영해 이달 중으로 최종 제출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추진위 측은 "우리 구역은 주민동의율이 높은 만큼 긍정적인 상황"이라고 말했다.

통상 정비사업 개발계획에 포함된 국유지는 도로나 기반시설 등 용지인 경우가 많아 정비사업이 추진되면 매각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한남1구역 외교부 부지는 이태원역과 가까운 앤틱가구거리와 유엔사부지 인근에 있어 입지와 규모가 우수하다는 평가다.

업계에서는 한남1구역 내 외교부 부지가 '알짜부지'에 해당하는 데다, 한남1구역 내 상가 소유주들의 반대가 커 향후 신통기획 추진이 순탄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한남1구역 소유주들 중 신통기획을 강하게 반대하는 이들이 구역 정중앙에 위치하고 있어 제척하고 개발할 수도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한남1구역 재개발은 서울 용산구 이태원동 730번지 일대 면적 5만3350㎡에 지하 4층~지상 25층, 총 10개 동, 약 1000가구를 조성하려는 사업이다. 1구역은 2017년 한남뉴타운 5개 구역 중 유일하게 정비구역에서 해제되며 그간 정비사업이 정체됐다. 지난 2020년 공공재개발 사업을 추진하기도 했으나 일부 상가소유주 반대로 인해 선정되지 못했다. 이후 서울시 신통기획으로 사업 추진방식을 바꿨으나 2022년과 지난해, 올해 3월까지 세 차례 연속 신통기획 후보지 명단에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아주경제

서울 용산구 한남3구역 일대 전경 사진 [사진=서울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주경제=박새롬 기자 sp500@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