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이번주 '의료대란' 최대 고비···내일부터 서울대병원 휴진 돌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의협, 18일 집단휴진·총궐기대회 예고

"의대정원 재논의시 휴진 보류 투표"

정부, 전국 단위 순환당직제 가동

개원의 휴진 신고율 4% 그쳐

아주경제

동네 병의원과 대학병원을 가리지 않고 '전면 휴진'이 확산하는 가운데, 지난 14일 서울대병원 응급진료센터로 한 환자가 이송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번 주 ‘의료대란’ 최대 고비가 예상된다. 서울대병원 교수들이 17일부터 무기한 휴진에 돌입하고, 대한의사협회 등 의료계는 18일 집단 휴진과 총궐기대회를 열기로 해서다. 정부는 의료계 집단 휴진을 앞두고 응급환자의 진료 차질을 최소화하기 위해 17일부터 중증 응급질환별 순환 당직제를 실시한다는 방침이다.

16일 의료계에 따르면 서울대병원 교수 529명이 17일부터 전체 휴진에 참여한다. 이는 진료에 참여하는 전체 교수(967명)의 54.7%에 해당한다. 수술장 예상 가동률은 기존 62.7%에서 33.5%로 떨어져 반토막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의협은 다음 날인 18일 집단 휴진과 총궐기대회를 연다. 의협에 따르면 앞서 의사 회원 11만1861명을 대상으로 한 집단행동 찬반 투표 결과, 7만800명이 참여했고 투표자의 90.6%가 투쟁을 지지했다. 73.5%는 휴진을 포함한 집단행동에 참여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다만 개원의들의 휴진 동참률은 저조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진료명령을 내린 뒤 지난 13일까지 개원가 신고를 받은 결과, 휴진을 신고한 의료기관은 전체 3만6371곳 중 1463곳으로 전체의 4.02%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일각에선 휴진 신고를 하지 않고 당일 휴진을 하는 의료기관이 늘어날 수 있다고 예상하지만 실제 휴진율이 크게 오르진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의료계 집단 휴진을 앞두고 의협이 대정부 요구안을 내놓으면서 새로운 국면을 맞을지도 관심이다. 의협은 이날 의대 증원 재논의를 포함한 3대 대정부 요구안을 발표하고, 정부가 이를 받아들이면 앞서 예고한 ‘18일 집단 휴진’ 보류 여부를 전 회원 투표를 통해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이들의 요구 사항은 △의대 정원 증원안 재논의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쟁점 사안 수정·보완 △전공의·의대생 관련 모든 행정명령과 처분을 즉각 소급 취소하고 사법 처리 위협 중단 등이다. 의협은 “만일 정부가 요구를 수용하지 않을 경우, 18일 전면 휴진하고 무기한 휴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정부도 의료계 집단 휴진을 앞두고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골든타임(최적기) 내 치료해야 하는 환자 진료를 위해 17일부터 ‘중증 응급질환별 전국 단위 순환 당직제’를 실시한다. 순환 당직을 신청한 기관들은 수도권·충청권·전라권·경상권 등 4개 광역별로 매일 최소 1개 이상의 당직 기관을 편성해 야간과 휴일 응급상황에 24시간 대비한다. 대상 질환은 급성대동맥증후군과 12세 이하 소아 급성복부질환, 산과 응급질환이며 향후 다른 응급질환으로 대상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암 환자가 적시에 치료받을 수 있도록 국립암센터 병상을 최대한 가동하고, 서울 주요 5대 병원과 핫라인도 구축한다. 의료계 집단 휴진일에도 정상적으로 운영하는 의료기관을 파악할 수 있도록 의료기관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해 안내할 예정이다.

아주경제=이효정 기자 hyo@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