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2 (토)

실검 부활 꼼수?…구글 검색에 떡하니 '인기 급상승 검색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검색 첫 화면에 인기 급상승 검색어 띄워

네이버, 다음은 실검 부활 논란에 정치권 견제로 철회

뉴시스

16일 구글의 브라우저 크롬 앱에서 구글 검색창에 접속하면 첫 화면에 인기 급상승 검색어가 나열된 모습(사진=구글 캡쳐) *재판매 및 DB 금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시스]최은수 기자 = 국내 검색엔진 시장을 빠르게 잠식 중인 구글이 자사 검색 페이지에 실시간 검색어(실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실검은 국내 포털 네이버, 다음이 여론 왜곡 논란으로 3~4년 전 폐지한 서비스다.

16일 IT(정보기술) 업계에 따르면 구글의 브라우저 크롬 앱에서 구글에 접속하면 검색창 하단에 인기 급상승 검색어가 나열된다.

크롬 웹 브라우저나 구글 앱에서도 구글의 검색창에 커서를 대면 자동으로 인기 급상승 검색어가 뜬다. 지난 14일 오후 기준 인기 급상승 검색어에는 '쿠팡 과징금 로켓 배송', '현대 모비스 정몽구', '디올 가방 원가' 등 화제가 된 키워드들이 떴다.

해당 기능은 구글이 국내에 인기 급상승 검색어를 자동 완성 설정 기능의 옵션으로 추가한 것이다. 구글은 지난해 ‘구글 트렌드 페이지’의 실시간 인기 메뉴를 통해 ‘일별 인기 급상승 검색어’를 제공하고 있으나 실시간 인기 급상승 검색어의 경우 한국에서는 제공하지 않고 있다며 실검 부활 논란에 선을 그은 바 있다.

이와 관련해 구글 측은 “인기 급상승 검색어는 구글 트렌드와 연동돼 나타나는 기능"이라고 설명했다.

업계에선 구글의 인기 급상승 검색어는 사실상 실검 서비스와 같다는 해석이 나온다. 실검은 최근 트렌드와 누리꾼 관심사를 실시간으로 알려준다는 장점이 있지만 여러 부작용을 낳았다. 정치권은 네이버, 다음 등 국내 포털 업체의 실검이 여론조작에 악용될 수 있다는 우려를 강도 높게 제기했고 결국 양사 모두 지난 2020년~2021년 실검 서비스를 중단한 바 있다.

지난해 네이버와 다음이 각각 ‘트렌드 토픽’ ‘투데이 버블’ 등 ‘트렌드 추천’ 기능을 이용자 체류시간 증대 전략 일환으로 선보였지만, 정치권에서는 실검 부활을 위한 꼼수라는 지적을 제기했다. 결국 네이버는 트렌드 토픽 서비스를 철회했다.

실검 폐지로 네이버와 다음의 트래픽은 타격을 입은 사이 구글은 실검 서비스를 전면에 내세우며 점유율을 키우고 있다. 인터넷트렌드에 따르면 지난달 1~31일 국내 검색 점유율은 네이버가 56.65%로 1위를 차지했고 구글은 35.48%, 다음은 3.64%를 기록했다. 구글의 점유율은 2022년 말 26.37%, 2023년 말 29.10%를 기록했다가 30%를 넘어서며 네이버와 격차를 좁히고 있다.

모바일에서도 구글의 성장세가 심상치 않다. 데이터플랫폼 기업 아이지에이웍스가 공개한 2024년 상반기 모바일 앱 순위 총정리 리포트에 따르면 지난 5월 인터넷 업종 앱의 MAU(월간활성화이용자수)는 네이버가 4313만명으로 1위를 기록했고 2위는 크롬(3624만명), 3위는 구글 앱(3303만명)이 차지했다.

구글 뿐만 아니라 X(옛 트위터)는 ‘실시간 트렌드’를, 틱톡은 인기 해시태그, 마이크로소프트 빙은 ‘현재 트렌드’ 등을 통해 실검과 유사 서비스를 하며 국내 포털 업체의 빈자리를 채우고 있다.

IT업계 한 관계자는 "지난해 실검 부활 논란을 구글이 비켜갔지만 실정은 검색창에 실검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용자를 끌어 모으고 있다"라며 "정치권이 국내 포털 업체에 실검 부활 꼼수를 제기한 반면 구글은 아무런 지적이나 제재가 없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이럴 거면 네이버와 카카오 등 국내 플랫폼에서도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규제를 풀어야 하지 않겠느냐"고도 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schoi@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