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2 (토)

경북 영천서 올해 4번째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2만4000마리 살처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철원에 이어 1달여 만에 발생…경북·대구 48시간 일시이동중지

뉴스1

지난 1월 경북 영덕군 축산면 한 양돈농장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발생해 방역당국 관계자들이 농장 입구를 차단한 후 농장 주변에서 야생동물 사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있다.ⓒ News1 최창호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세종=뉴스1) 임용우 기자 =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중앙사고수습본부는 지난 15일 경북 영천 한 양돈농장에서 ASF가 발생했다고 16일 밝혔다.

해당 농장에서는 2만4000여마리의 돼지를 사육하고 있었으며, 폐사 등이 발생해 정밀검사를 실시한 결과 확진 판정을 받았다.

올해 4번째 발생으로 지난달 강원 철원에서 ASF가 확인된 지 1달여 만에 경북에서 재차 확진 사례가 나오며 우려를 더하고 있다. 올해 1분기 기준 경북은 673개 양돈농가가 위치해 있는 지역으로 경기(1147개 농가), 충남(1033개), 전북(721개)에 이어 4번째로 많기 때문이다.

특히 올해 야생 멧돼지에서의 ASF 확인 건수 577건 중 83.8%(484건)가 경북지역에 집중돼 있다.

중수본은 발생농장에서 사육하고 있던 모든 돼지를 살처분하고, 외부인·가축·차량의 농장 출입 통제, 소독 및 역학조사 등 긴급방역 조치를 시행하고 있다.

또 발생지역 오염 차단을 위해 가용한 소독 자원을 총동원해 영천, 경주, 영덕, 대구 등 돼지농장 310개와 주변 도로를 집중 소독한다.

특히 중수본은 발생농장 반경 10㎞ 내 돼지 농가 5개와 역학관계가 있는 농장 42개에 대해 정밀검사를 실시한다.

중수본은 15일 오후 10시부터 17일 오후 10시까지 경북, 대구의 양돈농장·도축장·사료공장 등 축산관계시설 종사자 및 차량에 대해 일시이동중지 명령을 발령했다.

권재한 농식품부 농업혁신정책실장은 "추가 발생 위험이 크므로 농장점검과 소독 등에 소홀함이 없는지 꼼꼼히 살펴봐 달라"며 "양돈농가에서는 농장 내·외부 소독, 방역복 착용 등 기본적인 방역 수칙을 준수해 달라"고 말했다.

phlox@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