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1 (금)

"유럽도 자국우선주의"…한국 기업들 '예의주시'[EU총선 결산②]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시스

[서울=뉴시스] 독일 헤센(Hessen)주 오펜바흐(Offenbach)시에 있는 현대차 유럽법인 사옥. (사진=현대차 유럽법인) 2023.06.28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시스]안경무 이다솜 기자 = 최근 치러진 유럽 의회 선거에서 극우 세력들이 전에 없이 당선되며 세력을 키웠다.

이에 따라 유럽 전역에 '자국 우선주의' 기조가 확산될 예정으로, 유럽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의 현지 사업에도 상당한 영향을 줄 전망이다.

車 업계, 관세 증가 우려…탄소중립 완화는 '기대'

15일 업계에 따르면 유럽 의회 선거에서 극우 세력들이 득세하며, 유럽 사업이 활발한 현대차그룹은 향후 유럽 정책 변화를 예의 주시하고 있다.

현대차그룹에 따르면 현대차와 기아는 올 1월부터 4월까지 유럽에서 차량 36만9739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대비 -0.6% 감소한 수치로, 현대차와 기아의 유럽 시장 점유율을 합하면 8.3%에 달한다.

현대차와 기아는 2021년부터 지난해까지 3년 연속 유럽에서 '100만대' 이상 판매하며 존재감을 드러냈다.

이처럼 유럽이 중요한 해외시장인 현대차그룹은 향후 유럽 관세 변화에 가장 주목한다.

이호근 대덕대학교 미래자동차학과 교수는 "중국산 전기차에 대해 미국이 IRA(인플레이션 감축법)으로 장벽을 친 것처럼 유럽도 차량 판매 시 관세를 올릴 수 있다"며 "현대차와 기아도 이 같은 관세 정책 변화 여부를 주시하며 대책 마련을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일부에선 유럽 의회의 극우 세력 확대가 한국 완성차 기업들에게 긍정적인 측면도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김필수 대림대학교 자동차학과 교수는 "세계적으로 탄소중립 정책을 가장 까다롭게 적용하는 지역이 유럽"이라며 "극우 정당이 득세해 이런 탄소 중립 정책이 과도하다는 문제를 지적할 경우 관련 정책 속도가 늦춰질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탄소 중립 정책이 실행되면 다양한 파워트레인 생산 판매가 가능한 한국 자동차 업체들이 유리할 것"이라고 밝혔다.

유럽 연합이 2026년 세계 최초로 도입하는 '탄소국경세'도 같은 사례로 이 세금이 완화되면 한국 기업 입장에선 유럽 자동차 판매가 더 늘어날 수 있다.

뉴시스

[서울=뉴시스] LG에너지솔루션 폴란드 브로츠와프 공장.(사진=LG에너지솔루션) 2024.06.13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견제받는 K배터리·K방산…"자국우선주의 확산 주시"

전기차 배터리도 유럽 의회 선거 이후 정책 변화를 주목한다. 한국 배터리 3사 중 LG에너지솔루션은 폴란드, 삼성SDI·SK온은 헝가리에 각각 유럽 생산기지를 두고 있다.

특히 유럽은 이미 자국우선주의 확산으로 유럽판 IRA(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인 'CRMA(핵심원자재법)'이 시행되면서 글로벌 공급망이 급격히 재편되는 형국이다.

지난달부터 시행된 이 법은 권역 내 기업이 모든 가공 단계에서 핵심 원자재 소비량의 65% 이상을 유럽연합(EU) 밖 특정국에서 조달할 수 없도록 하고 있다. 이와 함께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특정 역외 국가로부터의 수입량을 EU 연간 소비량의 65% 미만으로 제한하는 내용도 들어있다.

이 법에 따르면 한국 배터리 산업 특성상 원자재 조달 측면에서 중국 의존도가 높은 만큼 공급망 다변화가 선결 과제다.

원자재 생산 과정에서 친환경 규제가 포함돼 이를 명분으로 EU 역외 기업들을 차별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한국 배터리업체들이 유럽에 공장을 가동 중으로 앞으로 더 심각해질 수 있는 공급망 다각화 정책에 무리 없이 대응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폴란드와 루마니아가 '큰 손'인 한국 방산업계도 유럽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 특히 최근 유럽 방산 분야에도 자국우선주의가 확산되고 있어 외국산 무기 수입에 대한 반감이 커지고 있다.

실제 영국의 차기 자주포 사업(MFP)에서 한국산 자주포 'K-9 개량형'이 아닌 독일산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기도 했다. 노르웨이 정부도 지난해 신형 전차 사업 당시 한국산 'K-2'가 아닌 2배 비싼 독일산을 택했다.

업계에서는 이 같은 유럽산 선호 현상이 기술력 차이보다는 유럽 결속을 위해 K-방산을 견제하는 차원이라고 해석한다. 실제 노르웨이 정부는 독일산 전차 낙점 이유로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핵심 동맹국과 같은 기종을 운용해야 하기 때문이다"고 밝혔다.

방산업계 관계자는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노골적으로 한국 방산을 견제하는 등 민감한 상황이 속속 벌어질 수 있다"며 "유럽의 이 같은 자국우선주의 기조가 더 확산될 수 있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akm@newsis.com, citizen@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