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회의 뒤흔든 낙태권…11월 대선 앞두고 성과 급한 바이든도 가세
마크롱 "유감" 표명…멜로니 "G7 정상회의서 선거 운동하는 건 잘못"
마크롱 대통령과 멜로니 총리 |
(로마·서울=연합뉴스) 신창용 특파원 김문성 기자 =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공동성명에 낙태권을 포함하는 문제를 놓고 프랑스와 이탈리아의 두 지도자가 날 선 공방을 주고받았다.
이탈리아에서 열린 G7 정상회의 이틀째인 14일(현지시간) 로이터, AFP 통신은 공동성명 초안을 입수해 확인한 결과 낙태권이 명시돼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도했다.
지난해 일본 히로시마에서 열린 G7 정상회의의 공동성명에는 "안전하고 합법적인 낙태와 낙태 후 치료에 대한 접근을 다루는 것을 포함해 모두를 위한 포괄적인 '성과 생식 건강권'을 달성하겠다는 우리의 약속을 재확인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생식 건강권은 출산 문제에 대해 본인의 의사를 존중해야 한다는 뜻을 담고 있다.
지난해 공동성명에 담겼던 "안전하고 합법적인 낙태에 관한 접근성" 문구가 빠진 데 대해 G7 정상회의에 참여했던 각국 외교관들은 그 원인으로 조르자 멜로니 이탈리아 총리를 지목했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전날 G7 정상회의 첫날 회의를 마친 뒤 낙태권 포함을 둘러싼 갈등에 대한 기자들의 질문에 멜로니 총리에게 유감을 표명했다.
그는 지난 3월 프랑스 의회가 여성의 낙태 자유를 명시한 헌법 개정안을 통과시킨 것을 언급하면서 이탈리아 기자를 향해 "당신의 나라에는 우리 같은 감성이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프랑스는 여성과 남성의 평등에 대한 비전을 갖고 있지만 모든 정치적 스펙트럼에서 공유하는 비전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마크롱 대통령은 지난 9일 유럽의회 선거에서 참패하자 조기 총선을 선언했다. 마크롱 대통령이 총선 선거용으로 낙태권을 밀어붙인 것이라고 멜로니 총리는 규정한 것이다.
멜로니 총리는 전날 세르조 마타렐라 이탈리아 대통령이 주최한 G7 정상 환영 만찬에서도 냉랭한 모습으로 마크롱 대통령을 맞이하는 모습이 포착돼 언론매체들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두 지도자는 멜로니 총리가 2022년 10월 집권한 이후부터 이주민 문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첫 유럽 순방 때 멜로니 총리를 '패싱'한 문제까지 다양한 사안으로 충돌했다.
이탈리아 의회가 지난 4월 낙태 반대 운동가들의 낙태 상담 클리닉 출입을 허용하는 법안을 통과시킨 것이 대표적이다. 이 법안은 멜로니 총리가 이끄는 강경 우파 연정이 주도한 것으로, 여성계와 야당의 강한 반발을 샀다.
G7 정상회의 공동성명에 낙태권이 들어가야 한다고 강력하게 요구한 지도자는 마크롱 대통령뿐만이 아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프랑스, 독일, 캐나다 정상들과 함께 낙태권 명시를 밀어붙이며 낙태권이 포함되지 않은 성명에는 서명하지 않겠다고 경고했다고 미국 일간 워싱턴포스트(WP)가 소식통을 인용해 전날 전했다.
다만 바이든 대통령의 보좌관들은 비록 '낙태'라는 단어가 들어가지는 않았지만 지난해 G7 성명에 대한 지지를 명시적으로 반복한 것은 낙태권에 대한 폭넓은 국제적인 수용이라고 평가했다.
이탈리아 제1야당인 민주당(PD)의 엘리 슐라인 대표는 G7 정상회의의 낙태권 논란과 관련, "이 나라 모든 여성의 권리를 옹호하지 않는 여성 총리는 우리에게 소용없다"며 "국가적 망신"이라고 비난했다.
이탈리아 풀리아주 브린디시의 보르고 에냐치아 리조트에서 열리는 G7 정상회의는 15일 막을 내린다.
changyong@yna.co.kr, kms1234@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