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G7, 러 동결자산 68조 우크라에 준다…美는 양자 안보협정 체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미국과 우크라이나가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를 계기로 10년짜리 양자 안보협정을 13일(현지시간) 체결했다. 이날 일본도 우크라이나와 양자 안보협정을 체결하면서 올해 45억 달러(약 6조1965억원)를 지원하기로 했다. G7 정상들은 러시아 동결 자금을 우크라이나 지원에 사용하는 데도 합의해 대러 압박 수위를 높였다.

AFP통신에 따르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이날 이탈리아 동남부 풀리아주의 보르고 에냐치아 리조트에서 개막한 G7 정상회의에서 만나 양자 안보협정을 맺은 뒤 공동 기자회견을 가졌다.

바이든 대통령은 "우크라이나의 평화를 위해선 우크라이나가 자신을 방어하고, 미래에 언제든지 공격을 억제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미국은 우크라이나가 (방어력과 억제력) 두 가지를 가질 수 있도록 미군을 파견하고, 새로운 무기와 탄약을 지원하고, 우크라이나의 방위산업 기지에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중앙일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왼쪽)이 13일 이탈리아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서 양자 안보협정에 서명하고 악수하는 모습. 로이터=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또한 G7 정상들이 이날 러시아의 동결된 자산을 활용해 올 연말까지 우크라이나에 500억 달러(약 68조5000억원)를 지원하기로 합의한 데 대해 "중요한 성과"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이번 합의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게 "우리(G7)는 물러서지 않을 것이라는 분명한 메시지를 전한 것"이라고 말했다.

젤렌스키 대통령도 "오늘은 역사적인 날"이라며 "미국의 지속적인 지원에 대해 감사하다"고 밝혔다. 그는 이번 미국과의 양자 안보협정이 우크라이나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원국 가입을 위한 징검다리가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다만 이번 협정은 미 의회의 비준 절차를 밟지 않았기 때문에 오는 11월 미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집권할 경우 폐기될 가능성이 있다.

이날 우크라이나는 일본과도 양자 안보협정을 체결했다. 이로써 우크라이나의 개별 안보협정 체결국은 기존 15개국에서 17개국으로 늘어났다.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는 젤렌스키 대통령과 안보협정을 체결하며 우크라이나에 올해 45억 달러를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재건과 복구를 위해 우크라이나와 협력하는 일본에 감사하다"고 밝혔다.

러시아의 동결 자산과 관련한 G7 합의에 러시아 측은 즉각 반발했다. 이날 마리야 자하로바 러시아 외무부 대변인은 "서방이 동결한 러시아 자산에서 수익을 취하려는 시도는 범죄"라며 "러시아 정부는 이에 대응할 것이며 이는 유럽연합(EU)에 매우 고통스러운 일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중앙일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이 G7 정상회의 첫날인 13일 스카이다이빙 시범을 보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 "중국 은행들, 러시아 도우면 제재할 것"



이런 가운데 미국이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러시아를 돕는 것으로 의심되는 중국 금융기관들을 정조준했다.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중국은 미국의 경고 속에 대러시아 무기 수출은 자제했다. 하지만 미 당국 조사 결과 러시아 방위산업에 쓰이는 반도체 등 각종 물자 수출은 활발하게 해온 것으로 나타났다. 그 과정에서 중국 소형 은행들이 가상자산 결제 등의 방식으로 중·러 교역에 관여해왔다는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

중앙일보

13일 미국 뉴욕에서 열린 뉴욕 경제 클럽(Economic Club of New York) 행사에서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이 바이든 행정부의 경제 정책과 글로벌 경제 관련 연설을 하기 전에 소개를 기다리고 있다. EPA=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 재닛 옐런 미 재무장관은 "중국의 대형은행까지 제재할 수 있다"고 말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옐런 장관은 뉴욕에서 열린 행사에서 연설한 뒤 기자들에게 "대러시아 제재를 조직적으로 위반할 경우 중국 대형은행에 대한 제재도 불사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영국은 북한에서 러시아로 군수품을 수송한 러시아 선박을 비롯한 50개 기업·개인에 대한 신규 제재를 발표했다. 영국 정부는 성명에서 "우크라이나 지지를 위해 G7과 협력하는 차원에서 푸틴 대통령의 전쟁 자금과 군수품 조달 능력을 압박할 수 있는 추가 제재를 부과한다"고 밝혔다. 제재 명단에 오른 '레이디 R'과 '앙가라' 등 선박 2척의 경우, 한국 정부가 지난 4월 "컨테이너를 싣고 러시아와 북한으로 오가며 군수물자를 운송했다"며 독자 제재한 선박이다.

서유진 기자 suh.youjin@joongang.co.kr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