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미국 기준금리 연내 3회→1회 인하 시사…한국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미국 연준, 5.25~5.50% 기준금리 동결

메트로신문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이번달에도 기준금리를 동결하고, 올해 금리 인하 횟수를 3회에서 1회로 줄였다. 시장의 바람대로 미국이 9월 금리를 인하하면 우리나라도 10~11월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높지만, 미국의 금리 인하 시기가 12월로 늦춰지면 우리나라는 연내 금리인하가 어려울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연준의 통화정책 결정기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는 12일(현지시간) 연 5.25~5.50%인 기준금리를 유지한다고 밝혔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물가가 지난 2년사이 많이 둔화됐지만 여전히 목표치(2%)를 상회하고 있다"며 "너무 빨리 금리인하를 하게 되면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이 둔화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고, 너무 늦게 너무 적게 금리인하를 하게 되면 경제부담을 줄 수 있으므로, 데이터를 통해 목표치에 다가가고 있다는 확신이 들 때 리스크들간 균형을 보면서 조절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메트로신문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美 연준, 올 한 차례 금리인하

이날 연준은 점도표(Dot plot)을 통해 올해 한차례 금리 인하를 시사했다. 지난 3월 0.25%포인트(p)씩 세차례 인하하겠다는 전망에 비해 횟수가 3분의 1로 줄어든 것이다. FOMC위원 19명 중 4명은 올해 말까지 현 수준의 금리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고, 7명은 1차례(5.00~5.25%) 인하, 8명은 2차례(4.75~5.00%) 인하를 내다봤다. 점도표는 FOMC 위원들이 예상하는 금리 인하시기와 인상폭을 취합한 것을 말한다.

금리인하 횟수가 줄어든 배경에는 물가 불확실성과 실업률이 낮은 부분이 크게 작용했다.

이날 발표한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를 보면 5월기준 3.3%로 한달 전(3.4%)과 비교해 소폭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물가상승의 주 원인인 주거비는 여전히 상승하고 있다.

파월 의장은 "팬데믹 이후 경제가 재개되면서 주거비가 급격히 상승했는데, 이러한 상승분이 신규 세입자보다는 기존 세입자의 재계약 임대료에 천천히 반영됐다"며 "임대료 하락도 이처럼 더디게 반영돼 완전히 물가에 실질적으로 반영되기까지는 상당시간이 소요될 것"이라고 말했다. 시간을 두고 물가 둔화를 지켜봐야 한다는 설명이다.

실업률은 지난 4월 3.9%에서 5월 4%로 늘었지만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통상 일자리가 줄면 구직자는 임금을 낮춰서라도 일을 하려 하기 때문에 물가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 아직까지 실업률은 낮고 고용률이 높아 물가상승 압력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파월 의장은 "수요측면에서는 이직률 및 구인공고가 감소하고, 임금상승률도 지난 2년간 매우 높은 수준에서 지속가능한 수준으로 하락하고 있다"면서도 "실업률은 여전히 낮고 고용률은 높아 균형을 이뤄가는지 주의 깊게 관찰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메트로신문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한은, 연내 금리 인하 없을수도

미국이 시간을 두고 금리를 한차례 인하할 것을 시사하면서 우리나라의 금리인하 시기도 늦춰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현재 원·달러 환율은 연준의 금리 결정과 시장이 전망하는 금리인하 시기에 따라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다. 이 상황에서 한은이 먼저 금리를 내릴 경우 원화가치가 떨어져 수입물가가 올라 물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물가관리가 가장 중요한 목표인 한은이 연준보다 금리를 먼저 인하하기 어렵다는 설명이다.

시장에서는 연준의 금리 인하 시기를 9월과 12월로 예상하고 있다.

씨티그룹은 "이날 발표된 둔화된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점도표에 반영되지 않았고, 노동시장도 균형을 잡고 있다"며 "완만한 인플레이션만으로도 9월에 인하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캐나다은행 RBC는 "이달 CPI가 둔화된 것을 두고 인플레이션이 하향하고 있다고 보긴 어려웠을 것"이라며 "인플레이션 완화와 노동시장이 점진적으로 냉각되면서 12월 금리인하를 단행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메트로신문사

다만 연준이 9월 금리를 인하할 경우 한은은 10월 또는 11월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크지만, 연준이 12월 금리를 인하하면 한은의 금리인하시기는 내년으로 미뤄진다.

공동락 대신증권 연구원은 "미국이 9월 금리를 인하하면 한은이 10월 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첫 금리인하는 미국의 상황에 따라 진행한 뒤, 이후 국내 상황에 맞춰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박형중 우리은행 투자전략팀장은 "한은이 서둘러 기준금리 인하를 단행할 이유가 많지 않다"며 "미국이 인하에 나선다는 가정하에 한은도 올해 4분기 인하가 유력하나, 물가가 충분히 낮아지지 않는다면 올해 인하가 없을 가능성도 상당하다"고 말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