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질병과 위생관리

“여름철 식중독 조심”…5월 기준 경기 식중독사고 72건, 전년비 50% 급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집단급식소, 음식점 등 지도·점검 강화, G-TV 개인위생 홍보 등 추진

더팩트

경기도청사 전경./경기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더팩트ㅣ수원=진현권 기자] 경기도가 식중독사고 발생 위험이 높은 여름철에 대비해 취약시설을 집중 점검하고, 예방·홍보 활동을 강화한다.

13일 도에 따르면 올해 5월 말 기준 도내 식중독 발생 건수는 72건(환자 수 664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48건(환자 수 820명)에 비해 50%나 증가했다. 2018~2022년 도내 발생 식중독 건수는 264건으로 한 해 평균 52.8건이며, 월별 식중독 발생은 5월(27건), 6월(23건), 7월(33건), 8월(31건), 9월(31건) 등 여름철에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경기도 식품안전정책지원단의 분석 결과, 경기도는 전국 대비 인구의 26%가 몰려 있고, 전국 대비 음식점은 21%, 집단급식소는 14%에 달한다. 이런 가운데 최근 5년간 전국 식중독 사고 가운데 경기도 비중이 19.3%에 달해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세균성 식중독(살모넬라, 병원성대장균 등)은 여름철(6~8월), 바이러스성 식중독(노로·로타바이러스)은 겨울철(12~2월) 발생률이 높다. 여름철(6~8월)에는 전체 식중독 발생의 33%가 집중됐다.

이에 도는 식중독 발생 예방을 위해 △식중독 예방 일제 점검 △전통시장 위생관리 및 식중독 예방 교육 및 홍보 △식중독 발생 시 신속 대응을 위한 모의훈련 △G-버스를 통한 식중독 예방 홍보영상 송출 등을 추진한다.

특히 이달 말까지 식중독 발생 시 대처가 어렵고 대규모 환자의 발생 가능성이 높은 도내 사회복지시설 내 급식시설, 산후조리원 급식시설 1444개소를 일제 점검한다. 점검 내용은 식재료 보관 기준 준수 여부, 소비(유통)기한 경과 제품(원료) 사용 여부, 식품의 위생적 취급 및 기구 세척‧소독 등이다.

여름 휴가철이 시작되는 7월에는 고속도로휴게소, 놀이시설, 해수욕장, 워터파크 주변 음식점과 배달 전문 음식점을 집중 점검한다.

이와 함께 7월부터 G-버스에 식중독 예방 6대 수칙인 △손 씻기 △칼․도마 구분 사용하기 △익혀 먹기 △끓여 먹기 △식재료․조리기구 세척 소독하기 △보관 온도 지키기 등 식중독 예방 홍보영상을 송출한다.

인치권 도 식품안전과장은 "여름철 식중독 주요 발생 원인인 살모넬라와 병원성대장균의 예방을 위해 계란과 가금육 취급 시 교차오염에 주의하고, 고온·다습으로 세균 증식의 우려가 있는 식품은 완전히 익혀 먹기를 당부한다"고 말했다.

vv8300@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