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이슈 취업과 일자리

정부 "5월 취업자 증가폭↓, 일시적 요인 영향…맞춤형 지원 강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제17차 일자리TF…5월 취업자 39개월 만 최소폭↑

"도소매·건설업 감소…고용취약계층 어려움 지속"

"6월 내수 개선세 긍정 작용…업종·계층별 모니터링"

[세종=이데일리 이지은 기자] 정부가 지난달 8만명까지 쪼그라든 취업자 수 증가 폭을 일시적인 현상으로 관측했다. 이달의 내수 지표를 향후 낙관적 요소로 꼽으면서도 취약부문 맞춤형 일자리 지원은 강화하겠다는 방침이다.

이데일리

김병환 기획재정부 차관이 3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물가관계차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기획재정부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는 12일 제17차 일자리 전담반(TF)를 개최해 최근 고용상황을 점검하고 향후 대응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이 자리에는 기획재정부와 고용노동부, 통계청 등 관계부처가 참석했다.

앞서 이날 발표된 통계청의 ‘2024년 5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891만5000명으로 1년 전보다 8만명 늘었다. 증가 폭은 2021년 2월(-47만3000명) 이후 3년 3개월 만에 최소였다. 다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0.1%포인트 상승한 70%로 1989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5월 기준으로 가장 높았다. 산업별로는 제조업(3만8000명)과 숙박음식점업(8만명)에서는 증가세가 이어졌으나 도소매업(-7만3000명), 건설업(-4만7000명)에서는 감소했다.

김병환 기재부 1차관은 “5월 취업자 증가 폭 축소는 고용동향 조사기간에 휴일이 포함되고 강수일수 증가 등 기상여건이 악화한 등 일시적 요인이 영향을 받은 측면이 있다”며 “15~64세 고용률이 처음으로 70%를 기록했으나 도소매업·건설업 고용이 감소하면서 취업자 증가 폭이 축소되고 고용취약계층의 어려움도 지속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6월 일평균 수출액과 카드승인액, 해외여행객 입국자수 등 내수 지표들이 개선세를 보이고 있어 향후 고용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업종·계층별 고용상황을 더욱 면밀히 모니터링하는 한편, 일자리 TF를 중심으로 관계부처와 함께 취약부문 맞춤형 일자리 지원 노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성희 고용노동부 차관은 “도소매업, 건설업 등 일부 업종에서 취업자수 증가폭이 감소하고 20대 후반, 50대 고용률 감소 등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며 “고용보험DB, 사업체노동력조사 등 다양한 통계의 종합적인 분석, 현장점검을 통한 실증원인 파악 등에 기반해 필요한 지원방안들을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