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임성근 해병대 소장, "군인은 국가가 필요할 때 군말 없이 죽어주도록 훈련되는 존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홍준기 기자(=대구경북)(zoom800@naver.com)]
임성근 해병대 소장이 지난 10일 경북경찰청에 "군인은 국가가 필요할 때 군말 없이 죽어주도록 훈련되는 존재"라며 "상관의 명령과 지시에 따라 작전을 수행했던 부하들이 선처받기를 희망한다"라는 내용의 탄원서를 제출했다.

이 같은 내용의 탄원서 내용을 두고 유승민 전 국민의힘 의원은 임성근 해병대 소장(전 해병 1사단장)이 채수근 상병의 죽음을 부하 탓으로 돌렸다며 "국군과 해병대의 수치이자 망발이다"라고 강하게 비판하고 나섰다.

유 전 의원은 12일 자신의 SNS를 통해 임 전 사단장은 군인은 국가가 필요할 때 군말 없이 죽어주도록 훈련된 존재다라는 말을 했는데 채 상병을 죽음으로 내몬 과실치사 피의자가 부하 죽음 앞에 어떻게 이런 말을 할 수 있냐고 했다.

그러면서 "적과 싸울 때 목숨을 걸어야 하는 건 군인의 본분이지만 적과 교전할 때도 방탄조끼는 입고 싸운다"며 "적과의 교전이 아니라 실종 민간인을 수색하는 일에 해병대 홍보를 위해 사진 잘 나와야 한다고 빨간 셔츠 위에 구명조끼도 입히지 않은 채 내성천 급류에 휩쓸려 가도록 명령한 자가 누구냐"고 따져 물었다.

이어 유 전 의원은 임 전 사단장이 부하 선처를 바란다고 낸 탄원서에 "직속 부하인 11대대장은 포병 위상을 높이려는 의욕에서 작전 대상 지역을 자의적으로 확대한 작전지침을 전파했고, 7대대장은 의욕 또는 과실로 작전지침을 오해해 작전대상 지역을 오판해 부하들에게 하천 본류까지 들어가도록 지시했다고 깨알같이 적었다"며 "이건 직속 부하인 두 대대장을 구명하려는 탄원서가 아니라, 자기 혼자 살아보겠다고 두 대대장에게 채상병 죽음의 모든 책임을 떠넘기는 졸렬하기 짝이 없는 처사다"며 맹비난했다.

유승민 전 의원은 "저런 장군은 국군의 수치이고 해병의 수치인데 윤석열 대통령은 왜 저런 자를 감싸고 도는지 도무지 이해할 수 없다"며 "이런 임성근 전 사단장의 망발은 채상병 특검법이 반드시 통과되어야 할 또 하나의 이유다"라고 강조했다.

프레시안

▲임성근 해병대 소장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홍준기 기자(=대구경북)(zoom800@naver.com)]

- Copyrights ©PRESSian.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