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1 (금)

이슈 질병과 위생관리

[영상]"물 속에 저게 다 뭐야"···대광어 10만 마리 키우는 '제주 바다목장' 가보니[르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이마트 '제주 바다목장' 가보니

청정 바닷물·최고급 사료로 키워

2~3㎏까지 자란 뒤 시중에 공급

생산비 올라 작아진 광어와 대조

이마트 14일부터 30% 할인행사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광어는 클수록 맛있습니다. 살이 두꺼워 단백질이 많고 쫀쫀한 식감도 오래갑니다. 대광어를 양식하려면 양질의 사료를 먹이고 적정 온도의 깨끗한 물을 공급하는 등 비용과 정성이 많이 들어가지만 소비자에게 좋은 품질의 광어를 공급하겠다는 일념으로 키우고 있습니다.”

10일 제주 서귀포시 성산읍의 광어 양식장. 드넓게 펼쳐진 제주 바다를 배경으로 자리한 2300평 규모 건물 안에 사각형 모양의 틀 바닥 가득히 1.5kg짜리 광어 약 10만 마리가 켜켜이 누워 있었다. 광어는 특성상 활동성이 적어 대부분의 시간을 바닥에 붙어 지낸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마트(139480) 전용 광어양식장인 ‘바다목장’으로 지정된 이곳 행복한광어 양식장은 매년 대광어 양식에 투자를 아끼지 않는다. 빛에 민감한 광어를 위해 어두컴컴한 환경을 유지하는 한편, 약 30여년간 축적된 노하우로 양식장 내 광어 밀도 등을 조절한다. 이마트라는 든든한 판로를 확보한 덕분에 가능한 일이다.

행복한양식장의 건물 한 켠 옥상에선 전기 발전기가 끊임없이 돌아가며 분당 200톤에 달하는 맑은 제주 바닷물을 퍼올린다. 양식장으로부터 약 550m 떨어진 바닷물과 지하 70m 지점에서 끌어올리는 맑은 용암 해수다. 이를 통해 광어는 연중 23℃의 안정된 수온에서 건강하게 자란다. 매달 1.5회 이상 어(魚)의사 케어도 받는다. 그 덕에 이 광어들은 전국 양식장 상위 1%에 속할 정도로 건강하고, 폐사율도 낮다. 오기수 행복한광어 대표이사는 “광어는 수온 1℃가 변하면 인간 기준 10℃가 변한 것처럼 직격탄을 받는다”면서 “스트레스를 받아 사료도 잘 못 먹고, 물 온도가 높을수록 산소가 부족해 어병(漁病)이 오기 쉽다”고 설명했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냉동 창고엔 광어 사료로 쓰일 신선한 고등어가 가득했다. 오 대표는 “사료용 고등어 값이 kg당 800원에서 1300원선으로 폭등했지만 양질의 사료를 먹어야 광어 살이 오른다”면서 “광어는 사료가 안 좋으면 질병에 걸리는 등 바로 반응하기 때문에 사람이 먹을 수 있을 정도로 신선한 사료만 먹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 양식장에서 광어들은 평균 2~3kg까지 자란 뒤 출하된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대광어 양식에 비용 부담을 느낀 양식업자들이 출하 가능한 크기 기준만 넘기면 광어를 바로 팔아버려 시중에 900g~1kg을 겨우 넘긴 광어가 쏟아지는 것과 대조적이다. 이마트는 이 같은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바다목장을 제주도에 확보하는 중이다. 기존 17곳에서 올해는 23곳으로 확대했다. 이를 통해 이마트는 최고급 시설에서 자란 대광어를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광어 양식장은 판로가 확보된 상태에서 대광어를 키울 수 있어 서로 윈윈 효과를 낼 수 있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렇게 확보한 고품질 광어를 이마트는 오는 14~20일 행사 가격에 판매한다. 1.7kg 이상의 광어만 선별해 광어회(대, 360g)를 신세계포인트 적립 시 30% 할인한 2만 4486원에 판매한다. 같은 기간 광어 물회(대) 역시 30% 할인가인 1만 7360원에 판매한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마트 관계자는 “최근 생산비 상승으로 작은 광어가 출하되고 있는 상황에서 쫄깃한 식감을 가진 큰 광어를 엄선해 행사에 돌입한다”면서 “특히 외식물가 상승에 맞춰 3인 가족이 먹을 수 있는 양을 가진 大사이즈로 행사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제주=김남명 기자 name@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