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명동의 빈 상점에 대출 전단지가 놓여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은퇴 등의 이유로 수입이 줄어든 고령층이 생활비 목적 등으로 대출을 받으면서 비교적 금리가 낮은 보험사 대출을 이용하는 비중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다른 연령층과 견줘 연체율도 높은 만큼 취약차주 지원 대책에서 고령층을 적극적으로 고려하고, 보험사 역시 위험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온다.
9일 한상용 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이 쓴 ‘국내 보험사의 고령층 가계대출 현황 및 과제’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말 기준으로 60살 이상 고령층이 보험업권 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2.6%로, 상호금융(51.0%)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 10년 전인 2013년만 해도 보험업권 대출 가운데 고령층 비중은 18.6%였으나 연평균 7.5%씩 증가하면서 지난해에는 3분의 1 수준까지 늘어난 것이다.
고령층의 상당수는 퇴직 후 창업을 준비하거나 소득이 급감하면서 생활비 목적으로 대출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보험업권 60살 이상 차주 가운데 40.4%는 자영업자였고, 생계형 대출(생활안정자금 용도)을 받아간 비중도 60살 이상에서 2.71%로 다른 연령층보다 높게 나타났다.
문제는 은퇴를 앞두고 있거나 이미 은퇴한 고령층은 수입이 많지 않거나 부동산에 돈이 묶인 경우가 많아 연체 위험도 다른 연령층에 견줘 크다는 것이다. 실제로 보험업권에서 돈을 빌린 차주 가운데 60살 이상의 연체율은 0.50%로 전 연령층 가운데 가장 높았고, 취약차주가 차지하는 비중 역시 60살 이상이 6.73%로 가장 컸다.
한 연구위원은 “고금리로 연체율이 오르면서 은행권의 취약차주 대출 문턱이 높아지자 고령층 취약차주들이 제2금융권 중에서 금리가 상대적으로 낮은 보험사에서 생활비나 사업자금 확보를 위해 보험담보 대출이 증가했다”며 “이들을 중심으로 보험사 가계대출 연체율이 증가했고 고연령 차주의 자산 상당 부분이 부동산에 묶여 있어 금리 상승에 따른 가계대출의 연체위험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보험사들이 고연령 차주에 대한 모니터링과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는 한편, 금융당국은 고령층의 대출 확대와 부실 위험 억제를 위해 신용리스크 관리 체계를 정비하는 등 지원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서는 제안했다.
조해영 기자 hycho@hani.co.kr
▶▶권력에 타협하지 않는 언론, 한겨레 [후원하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오직 한겨레에서 볼 수 있는 보석같은 기사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