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전국 아파트 거래량이 회복세를 보이는 반면, 오피스텔과 빌라를 찾는 사람들은 계속해서 줄고 있습니다. 서민과 청년층의 주거 사다리가 무너질 수도 있다는 우려도 나오는데요.
제희원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준공 2년 차를 맞은 서울 강남구의 한 오피스텔입니다.
역세권 입지에도, 120호실 중 약 75%가 미분양으로 추정됩니다.
[A 씨/공인중개사 : 기존 것들을 팔기도 어렵고 사기도 어려운 시기가 너무 길었고. 점차 더 매력도가 떨어진 것 같아요. 투자 상품으로써.]
강남역 인근의 이 도시형 생활주택은 준공 100일도 되지 않아 통째로 공매로 나왔는데, 청약에서도 전 가구가 미달했습니다.
[B 씨/공인중개사 : 코로나 전만 해도 정말 잘 됐죠. 하루 만에 분양되는 것 보고 제가 많이 놀랐는데, (최근에는) 하이엔드로 나와서 분양가를 너무 많이 올렸더라고요.]
[김은선/직방 빅데이터랩실 랩장 : 오피스텔 같은 경우는 매매차익 실현보다 임대차 등 활용한 월세 수익형 상품인데 임차 수요가 감소하고 신규 투자 매력을 낮추는 부정적 요소가 되었을 수 있고요.]
정부가 올해 초 소형 주택의 주택수 제외 등 비아파트 공급 활성화를 위한 대책을 내놨지만, 신축에 한정된 혜택과 높아진 전세보증보험 문턱으로 효과는 미약합니다.
[오피스텔 소유주 : (세입자들이) '자기는 전세금 더 주고 싶은데 보증보험 한도 때문에 안 된다'고. 나머지를 어쩔 수 없이 월세 전환을 시켜줘야 하거든요.]
주거비는 더 오를 수밖에 없는데, 서민가구와 청년층의 주거 사다리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보완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영상취재 : 이용한, 영상편집 : 안여진, VJ : 김건)
제희원 기자 jessy@sbs.co.kr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전국 아파트 거래량이 회복세를 보이는 반면, 오피스텔과 빌라를 찾는 사람들은 계속해서 줄고 있습니다. 서민과 청년층의 주거 사다리가 무너질 수도 있다는 우려도 나오는데요.
제희원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준공 2년 차를 맞은 서울 강남구의 한 오피스텔입니다.
역세권 입지에도, 120호실 중 약 75%가 미분양으로 추정됩니다.
자금을 조달 못한 시행사는 부도 위기에 처했습니다.
[A 씨/공인중개사 : 기존 것들을 팔기도 어렵고 사기도 어려운 시기가 너무 길었고. 점차 더 매력도가 떨어진 것 같아요. 투자 상품으로써.]
강남역 인근의 이 도시형 생활주택은 준공 100일도 되지 않아 통째로 공매로 나왔는데, 청약에서도 전 가구가 미달했습니다.
[B 씨/공인중개사 : 코로나 전만 해도 정말 잘 됐죠. 하루 만에 분양되는 것 보고 제가 많이 놀랐는데, (최근에는) 하이엔드로 나와서 분양가를 너무 많이 올렸더라고요.]
올해 1분기 전국의 주택 거래 4건 중 3건이 아파트로, 비아파트 비중은 2006년 조사 이후 최저로 추락했습니다.
[김은선/직방 빅데이터랩실 랩장 : 오피스텔 같은 경우는 매매차익 실현보다 임대차 등 활용한 월세 수익형 상품인데 임차 수요가 감소하고 신규 투자 매력을 낮추는 부정적 요소가 되었을 수 있고요.]
정부가 올해 초 소형 주택의 주택수 제외 등 비아파트 공급 활성화를 위한 대책을 내놨지만, 신축에 한정된 혜택과 높아진 전세보증보험 문턱으로 효과는 미약합니다.
[오피스텔 소유주 : (세입자들이) '자기는 전세금 더 주고 싶은데 보증보험 한도 때문에 안 된다'고. 나머지를 어쩔 수 없이 월세 전환을 시켜줘야 하거든요.]
올해 오피스텔 매매량은 2년 전 대비 43% 급감했는데, 전세사기 등 여파로 수도권의 경우 월세 거래 비중이 전세의 2배를 넘기며, 월세 위주 재편이 뚜렷합니다.
주거비는 더 오를 수밖에 없는데, 서민가구와 청년층의 주거 사다리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보완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영상취재 : 이용한, 영상편집 : 안여진, VJ : 김건)
제희원 기자 jessy@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