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박지원 “석유야 꼭 나와라, 안 나오면 ‘박정희 시즌2’”

댓글 2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박지원 더불어민주당 의원.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박지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윤석열 대통령이 3일 경북 포항 영일만 앞바다의 대규모 석유·가스 매장 가능성을 언급한 것과 관련해 “박정희 전 대통령 얼굴이 오버랩됐다”고 말했다.



박 의원은 3일 시사인(IN) 유튜브 ‘김은지의 뉴스인(IN)’에서 최근 윤 대통령의 지지율이 취임 뒤 최저치인 21%를 기록한 것을 언급하며 “역대 어떤 대통령도 집권 2년 만에 이렇게 바닥을 친 적은 없다”며 “오죽 급했으면 포항에 유전 가능성을 얘기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한겨레

윤석열 대통령이 3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브리핑실에서 경제 현안과 관련해 국정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윤 대통령은 3일 오전 용산 대통령실 청사 브리핑룸을 찾아 “포항 영일만 앞바다에서 막대한 양의 석유와 가스가 매장돼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물리탐사 결과가 나왔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이 국정브리핑을 통해 직접 현안을 설명한 것은 취임 2년여 만에 처음이다. 브리핑에 동석한 안덕근 산법자원부 장관은 “최대 매장 가능성 140억 배럴은 현재 가치로 따져보면 삼성전자 시총의 5배 정도”라고 설명했다. 현재 삼성전자 시가총액은 약 453조원으로, 영일만 앞바다에 매장됐을 것으로 추정되는 석유·가스의 가치가 약 2260조원이 넘을 것이라는 얘기다. 앞서 한국갤럽이 지난달 28~30일 전국 만 18살 이상 1001명을 전화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조사한 결과(신뢰수준 95%, 표본오차 ±3.1%포인트, 응답률 11.1%), 윤 대통령의 직무수행 긍정평가는 21%, 부정평가는 70%로 나타났다. 긍정평가는 취임 뒤 최저치, 부정평가는 취임 뒤 최고치다.



한겨레

윤석열 대통령은 3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브리핑실에서 열린 국정브리핑에서 동해 석유·가스 매장과 관련해 발표했다. 사진은 이날 브리핑에서 공개된 유망구조 도출지역이 표기된 이미지.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에 박 의원은 “이번 (조사)에(서) 긍정평가가 21%로 내려가고 부정평가가 70%가 되니까 (윤 대통령이) 급해졌다”며 “그래도 윤 대통령이 어떤 근거를 갖고 발표했을 테니까 ‘꼭 석유야, 가스야, 좀 나와라. 나와’(라고 말하고 싶다)”고 밝혔다.



박 의원은 박정희 전 대통령 시절 벌어진 ‘포항 석유 발견 발표’ 해프닝을 언급하기도 했다. 박 의원은 “(윤 대통령의) 발표를 보고 박정희 전 대통령 얼굴이 오버랩됐다”며 “(1976년 1월15일) 박 전 대통령이 포항에서 석유가 발견됐다고 해서 발칵 뒤집혔다. 그런데 사실이 아니었다”고 말했다. 1976년 1월 당시 박 전 대통령은 기자회견에서 “포항에서 석유가 난다”고 발표했지만 원유가 아닌 정제된 경유로 드러나면서 해프닝으로 끝났다. 박 의원은 “윤 대통령이 말한 대로 유전과 가스가 매장된 게 사실로 나오면 얼마나 좋겠나. 사실 국민은 한 번 속아봤으니 ‘박정희 시즌2’가 되는 건 아닌지 모르겠다”고 덧붙였다.



조갑제 전 월간조선 대표 역시 이날 ‘조갑제닷컴’에 “윤석열의 포항 앞바다 유전 가능성 발표와 박정희의 포항 석유 대소동이 겹친다”라는 제목의 글을 올렸다. 조 전 대표는 당시 ‘국제신문’ 기자로 근무하며 ‘포항 석유 경제성 없다’ 등의 기사를 통해 포항에 원유가 매장돼 있더라도 극소수이거나 경제성이 없다고 특종 보도한 바 있다.



조 전 대표는 글에서 “박정희는 정유를 원유로 오인, 포항에서 양질의 석유가 나왔다고 발표했다”며 “윤 대통령이 포항 앞바다에 대유전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는 발표를 하는 걸 보고 1976년의 일이 떠올랐다”고 주장했다. 이어 “유전 발견은 물리탐사가 아니라 시추로 확인되는 것인데 물리탐사에만 의존해 꿈 같은 발표를 하는 윤 대통령은 박정희의 실패 사례를 알아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조 전 대표는 4일에도 글을 올려 “140억 배럴 초대형 유전 발견이라는 목표에 맞추기 위해 앞으로 엄청난 무리가 행해질 것이고 윤 대통령의 지도력은 희화화될 가능성이 대유전 발견 가능성보다는 훨씬 높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조윤영 기자 jyy@hani.co.kr



▶▶권력에 타협하지 않는 언론, 한겨레 [후원하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오직 한겨레에서 볼 수 있는 보석같은 기사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