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6 (토)

이통3사, 최근 10년간 연평균 영업익 성장률 '-1%'…희망은 'AI'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KISDI 통신시장 경쟁상황평가 '이동통신 부문 영업이익' 발표
전반적 수익성 흐름 우하향…"향후 추세 모니터링 필요 있어"
전문가 "시장 포화로 AI·클라우드 등으로 사업 영역 확장 중"

머니투데이

최근 10년간 이통 3사 영업이익추이/그래픽=김다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 10년간 이통3사(SK텔레콤·KT·LG유플러스)의 영업이익 성장률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LTE에서 5G로 넘어오는 과정에서 투자-회수 시점이 늦어지면서 수익성에 빨간불이 켜진 것이다. 이통3사 영업이익 추세에 대한 정부의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에 이통3사는 주 먹거리였던 이동통신 대신 AI(인공지능)나 클라우드 등 새 먹거리에 사활을 걸고 있다.

지난달 30일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이 발표한 '통신시장 경쟁상황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2013년 2조9452억원이었던 이통3사의 이동통신 부문 합산 영업이익은 10년 뒤인 2022년 2조6870억원으로 감소했다. 이는 각 사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에 제출한 영업보고서 내에서 이동통신 관련 영업이익만 별도 산출한 것이다. 이를 토대로 계산한 10년간 연평균 성장률(CAGR)은 -0.91% 수준이다.

2013년부터 2022년까지 이통3사의 연평균 합산 영업이익은 2조5017억원이다. 각 사 별로는 SK텔레콤이 1조7225억원, KT가 4544억원, LG유플러스가 3247억원이다.

KISDI는 특히 영업이익률 변화에 주목했다. 이통3사 합산 영업이익률은 2013년 11%에서 2022년 10.1%로 0.9% 감소했다. 5G 상용화를 위한 투자로 영업비용이 컸던 2019년 1.4%였던 영업이익률이 2020년 8%, 2021년 6.4%로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그 속도가 LTE 때보다 더디다는 것. KISDI는 보고서에 "과거 영업이익의 흐름 및 기술방식 진화에 따른 투자-회수 시점의 차이를 고려할 때 (2022년 증가한 영업이익률을) 초과이윤의 존재로 단정 짓기는 어렵다"며 "향후 이통3사의 영업이익 추세를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각 국가 간 1위 사업자의 2022년 4분기 EBITDA(상각 전 영업이익) 마진율은 SK텔레콤이 30.9%를 기록해 OECD 29개 회원국 평균인 38.0%보다 7.1%p(포인트) 낮았다.

본업 성장 침체로 이통3사는 신사업, 특히 AI로 반등을 노린다. SK텔레콤은 지난해 AI 피라미드 전략을 발표하며 AI 기업으로 전환을 선언했고, KT는 지난 2월 AICT(AI와 ICT의 합성어), LG유플러스는 지난달 'AX(AI 전환)로 고객 성장을 이끄는 회사'라는 슬로건을 발표해 AI 사업을 강화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이들은 AI서비스·AIDC(AI 전용 데이터센터)·B2B AI 솔루션 등에 집중 투자 중이다. 이통사들은 사업 전체에서 AI 비중을 점점 늘려갈 계획이다.

SK텔레콤은 AI 관련 투자 비중을 과거 5년간 12%에서 2028년까지 33%로 3배가량 확대할 계획이다. KT는 AI 인프라 수요 증가에 대응해 IDC 사업 확장과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을 확대하고, 이를 위해 올해 AI 개발 관련 IT 인력 1000명을 충원중이다. LG유플러스는 최근 세 번째 데이터센터인 파주 IDC 설립을 발표했다. 파주 IDC는 생성형 AI 전용 GPU 운영·관리에 최적화된 'AI 데이터센터'로 구축할 예정이다.

전문가들은 이같은 변화가 마케팅비를 통한 통신 포퓰리즘성 통신 정책에서 벗어날 때라고 강조한다. 통신비 정책을 약정이나 결합상품, 단말기 제조사 상황 등과 함께 심층적으로 접근할 때라는 것.

안정상 중앙대 교수는 총선 전 도입된 전환지원금을 예로 들며 "시장 포화상태에서 미디어·AI·클라우드·양자·UAM(도심항공교통)·디지털 전환 사업 등으로 비즈니스 영역을 확장해 가는 상황에서 이통사들이 정부가 원하는 대로 마케팅비에 해당하는 전환지원금을 대폭 지급하기는 어렵다"며 "이통사만 압박한 채 제조사의 지원금 확대나 단말기 가격 자체 인하가 없어 결과적으로 가계통신비 경감 효과는 전무했지 않냐"고 지적했다.

통신업계도 경쟁 유도가 아닌 정부 주도의 요금 인하 정책을 멈춰야 한다고 주장한다. 통신산업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이동통신 부문 수익성이 떨어지면서 이통3사는 신사업 투자를 늘리고 있는데, 정부 요금 인하 압박이 지속되면 사업 성장을 도모할 수 없다는 것이다. KISDI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전체 통신 서비스 생산액에서 이동통신 비중은 66.8%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출산율 저하와 고령화 등 인구구조 변화, 그리고 시장 포화로 인해 이동통신 수익에 매달려서는 생존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선거철 포퓰리즘에 입각한 가계통신비 정책이 아닌 산업의 진흥을 위한 선순환을 유도하는 정책 방향을 고민해야 할 때"라고 주장했다.

배한님 기자 bhn25@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